극심한 일감 부족으로 오는 6월 가동 중단이 예고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정부의 ‘선박신조(新造) 지원 프로그램’에서도 한 척도 수주하지 못하게 되자 지역에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11일 전북도와 군산시에 따르면 군산상공회의소와 지역 시민단체, 기초의원들은 10일부터 서울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과 국민의당 당사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펴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선박펀드를 특정 업체에만 밀어주어서는 안 되며 투명하게 공적 자금이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현대상선은 지난 9일 초대형 유조선 10척(9000여 억원 규모)의 건조계약 의향서를 대우조선해양과 체결했다. 정부와 국책은행 등이 참여해 만든 선박펀드를 지원받아 현대상선이 선박을 건조토록 해 조선소의 수주절벽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지만 정작 폐쇄 위기에 놓인 군산조선소는 1척도 수주하지 못했다. 군산조선소가 두 달 뒤 가동이 중단되면 협력업체 등 150여개 기업이 문을 닫고 5000여 명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게 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과 업계는 부채율 4000%의 대우조선해양은 살리려 안간힘을 쓰면서 전북의 조선소는 나 몰라라 하는 것은 지역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7월 확정되는 현대상선 유조선 본 계약 전에 재검토를 통해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체 10척 가운데 최소 5척은 기대했는데, 이렇게 뒤통수를 맞을 줄 몰랐다”며 “상심이 크지만 1조여 원 규모의 벌크선과 중·소형 컨테이너선 등 15척 안팎의 추가 신조 물량에 대비에 수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군산조선소, 정부 지원 프로그램서 수주 불발… “공적자금 편파 지원” 지역민 반발
입력 2017-04-11 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