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부터 ‘4·19혁명 국민문화제’를 개최해온 서울 강북구가 올해 행사를 대폭 확대하고, 4·19 국가기념일 지정을 추진한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11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보훈문화축제로 자리 잡은 ‘4·19혁명 국민문화제’가 13일부터 1주일간 열린다”며 “예년 3∼4일이던 행사기간을 올해 7일로 늘리고, 국제학술회의를 처음 개최하는 등 ‘4·19의 세계화’도 시작한다”고 밝혔다.
박 구청장은 “1960년 4·19혁명은 1인당 국민소득 100달러에 불과했던 저개발국가에서도 민주주의와 인권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세계사적 사건”이라며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고 기록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 4·19를 5·18과 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정부 주도로 전국적인 기념행사를 해야 한다고 요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정중섭 4·19혁명 국민문화제 추진위원장도 “4·19는 한국 민주주의의 시초이자 아시아 최초의 시민혁명임에도 정부의 공식 기념식은 소규모 행사로 그치고 대통령도 참석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지금까지 대통령으로서 4·19 기념식에 참석한 경우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유일하며, 국무총리가 관행적으로 기념사를 해왔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4·19혁명 국민문화제 기간에는 첫날 국제학술회의가 열리는 등 다채로운 행사가 이어진다. 국제학술회의에서는 한국학 권위자인 존 던컨 미국 UCLA대 교수가 ‘4월 혁명과 포스트 한국’, 한국 민주주의운동 연구자로 유명한 폴 장 하버드대 교수가 ‘국제혁명과 내부 변혁의 4월 혁명’을 주제로 세계사적 관점에서 4·19혁명의 의미를 조명한다.
18일 오후 7시부터는 전야제가 펼쳐진다. 강북구청사거리에서 본무대가 설치된 광산사거리까지 650m 구간의 차량 통행을 막고 전인권밴드, 이승환, 노브레인 등이 참여하는 록페스티벌이 진행된다.
18일 낮에는 육군사관학교 군악대의 퍼레이드도 예정돼 있다. 박 구청장은 “4·19 당시 이종찬 육군대학 총장이 대통령의 발포 지시를 거부한 것이 혁명의 성공 요인 중 하나였다”며 “이런 이유로 올해 육사 군악대가 4·19혁명 기념행사에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대학생 걷기대회, 엄홍길 대장과 함께하는 순례길 트래킹, 전국대학생 토론대회, 전국 학생 그림 그리기 & 글짓기 대회, 4·19혁명의 효시인 마산 3·15의거 영상물 상영·전시, 1960년대 체험존 운영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됐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강북구 4·19 문화제 확대… 국가기념일 지정 추진
입력 2017-04-12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