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아들 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 풀리지 않는 의문

입력 2017-04-11 05:12
한국고용정보원이 2006년 11월 30일 고용노동부의 채용 정보 사이트 워크넷에 올린 고용정보원 연구직 초빙 공고문. 공고문에 ‘일반직 5급 약간명 포함(전산기술 분야 경력자 우대)’ 문구가 쓰여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은 전산기술 분야에 동영상 전문가가 포함된다고 주장했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제공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아들 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취업 특혜 의혹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입사 과정에서 상식적이지 않은 상황이 드러났고, 일부 해명이 명쾌하지 않아 또 다른 의혹이 확대 재생산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일보는 10일 준용씨의 특혜채용 관련 의혹을 되짚어봤다. 문 후보 측은 “이명박정부에서도 노동부 감사 등을 통해 샅샅이 뒤졌지만 아무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미 검증이 끝난 사안”이라고 했다. 그러나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들이 있다.

수상한 채용 공고와 입사지원서

특혜채용 의혹은 고용정보원이 낸 채용공고와 준용씨가 제출한 입사지원서 때문에 불거졌다. 준용씨는 동영상 전문가로 채용됐는데 채용공고에는 관련 언급이 없었다는 게 의혹의 발단이다.

잘못된 채용공고는 ‘사실’이다. 고용정보원은 2006년 11월 30일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채용정보방 ‘워크넷’에 ‘연구직 초빙 공고’라는 제목의 A4용지 두 장짜리 공고문을 올렸다. ‘채용 분야’ 항목에는 고용조사분석, 노동시장, 동향분석, 인력수급전망 등이, ‘전공 분야’ 항목에는 노동경제, 계량경제, 인적자원개발, 통계, 경영 등 내용만 상세히 기술됐다. 다만 ‘일반직 5급 약간 명 포함(전산기술 분야 경력자 우대)’ 항목이 한 줄 언급됐다. ‘일반직 5급 약간 명’이 준용씨가 지원했던 분야다.

그러나 고용정보원은 채용공고를 내기 전 내부적으로 ‘동영상 및 프레젠테이션(PT) 제작 관련 전문가를 외부에서 뽑는다’는 채용계획을 결정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동영상 및 PT 전문가를 뽑겠다면서 정작 채용공고에는 이를 언급하지 않은 것이다. 이후 노동부의 특혜채용 의혹 감사보고서도 “연구직 분야만 모집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일반직 채용 내용을 간과할 수 있어 특혜채용 의혹을 야기시켰다”고 지적했다.

준용씨 입사지원서와 자기소개서도 논란이 됐다. 준용씨 자기소개서는 9문장(활동 경력 제외)에 불과했는데, 모두 동영상 관련 능력과 경험만 기록됐다. “영상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공부해 왔다”는 식으로 채용공고에 언급되지 않은 동영상 관련 능력만 강조한 것이다. 이에 문 전 대표 측은 “대개 동영상 직군이 전산기술에 들어가고, 경력직 우대여서 메리트가 있겠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보수 정당이 의혹을 제기하는 ‘단독 지원’ ‘단독 합격’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당시 채용은 계약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돌리고, 일부 신규 인원을 뽑는 게 목표였다. 당시 연구직에는 12명이 지원해 5명이, 일반직에는 39명이 지원해 9명이 합격했다. 그런데 일반직 응시자 39명 중 37명이 내부 계약직 직원이었고, 2명만 외부 응시자였다. 이들 2명은 모두 합격했는데 이 중 한 명이 준용씨다. 특히 ‘동영상 및 PT 관련 분야’ 지원은 준용씨 혼자였다. 다른 한 명은 마케팅 관련 전문가로 해당 직군에서 3년간 일한 경력자였다. 동영상 분야에 단독지원해 합격한 건 ‘팩트’인 셈이다. 준용씨 취업 때 고용정보원의 채용공고와 서류접수 기간이 통상(15일)보다 짧은 6일에 불과했고, 원서접수 하루 전 채용공고를 낸 문제도 노동부 지적을 받았다. 채용 과정의 문제로 고용정보원 간부와 직원 3명이 징계도 받았다.

휴직·유학, 논란 키운 해명

준용씨의 유학 문제는 문 후보 해명이 되레 논란을 키운 케이스다. 문 후보는 자신의 저서 ‘다시 시작이다’에서 “(아들이) 대학을 졸업하면서 외국 유학을 희망했고, 두 곳에서 입학 허가를 받았다”며 “입학 허가를 기다리는 동안 결과를 알 수 없으니 취업 자리도 알아봤다. 그러다 합격한 곳이 한국고용정보원으로, 운 좋게도 양손에 떡을 쥐고 고민하게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또 “아들은 입학을 제의한 대학에 입학 연기가 되는지 문의했고, 1년 정도는 가능하다는 답을 들었다. 그것이 고용정보원에 근무하게 된 연유”라고 주장했다.

준용씨는 당시 2007년 가을학기 입학을 허락받았다. 파슨스 합격 통지서는 2007년 3월 9일자로 발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정보원 합격자 발표는 2006년 12월 27일 무렵으로 알려졌다. 고용정보원에 입사해 2개월 정도 근무한 상황에서 입학 허가를 받은 것이다. 파슨스 측이 합격 통지서 발급 전 준용씨에게 사전 고지를 하지 않았다면, 적어도 고용정보원 합격 때는 ‘양손에 떡을 쥔 상황’이 아니었던 셈이다.

국민일보 확인 결과 파슨스 디자인스쿨 규정에는 ‘입학 연기가 불가능하다(Students cannot defer admittance)’고 명시돼 있다. 합격자가 다른 학기 입학을 원할 경우 1년 내 재심의 요청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입학심사 절차는 다시 밟아야 한다.

준용씨는 2008년 3월 휴직에 들어갔고 2008년 가을학기 미국의 파슨스 디자인스쿨에 입학했다. 결국 고용정보원 인사위가 열린 2008년 2월 당시 준용씨는 파슨스 재심의 절차에 따라 입학 허가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당시 한 인사위 참석자는 회의에서 “현재 어학연수 과정만 완료된 상태이므로 먼저 6개월 휴직 후 다시 최종 결정되면 연장해 주자”고 말했다. 정철균 전 고용정보원장도 2012년 국감에서 “어드미션(입학허가)이 안 와 일단 6개월 휴직을 (허락했다)”고 했다. 게다가 준용씨가 제출한 어학연수 증빙서류엔 어학연수기간이 2008년 3월 3일부터 3월 28일까지 단 4주로 돼 있었다.

자유한국당 소속 심재철 국회부의장은 준용씨 응시원서에 적힌 ‘12월 4일’의 4자가 ‘11’자에서 가필돼 작성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준용씨가 원서접수 마감 닷새 뒤에 응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준용씨가 졸업예정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짜 역시 12월 11일이었기 때문이다. 준용씨는 서류 접수를 하면서 필수서류인 학력증명서를 제출하지 않고 뒤늦게 졸업예정증명서를 제출했다.

전웅빈 문동성 김판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