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안이 좌초 위기에 처했다. 정부는 대우조선에 2조90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대신 돈을 빌려준 기관들이 손실을 분담하는 방안을 제시했었다. 하지만 대우조선 회사채 투자자 가운데 큰손인 국민연금공단과 대우조선의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채무재조정을 놓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막판에 극적 합의에 이를 여지는 남아 있지만 초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프리패키지드플랜)’ 돌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우조선은 오는 17∼18일 사채권자 집회를 앞두고 있다. 채무재조정 합의 불발 시 P-플랜에 들어간다. 그럴 경우 날짜는 21일이 유력하다.
산업은행은 1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본점에서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한 기관투자가 30곳을 상대로 채무재조정안 설명회를 열었다. 기관에서는 50여명의 실무급 인사들이 참석했고, 국민연금도 강면욱 기금운용본부장 대신 실무진이 참석했다. 국민연금은 3900억원 규모의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하고 있다.
핵심은 정부의 구조조정안대로 회사채 50%를 출자전환(빚을 주식으로 바꿈)하고 50%는 상환유예(3년 만기연장)하는 것에 동의해 달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대우조선에 신규 자금이 투입돼 회사채 보유자들의 손실이 최대 50%에 그칠 것이란 설명이다. 반면 P-플랜에 바로 돌입하면 회수액이 10% 이하로 떨어져 국민연금도 손해란 내용이 골자였다.
정용석 산업은행 구조조정담당 부행장은 “회사채 투자자들도 고통분담 차원, 손실 최소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국민연금과 추가로 면담할 수는 있지만 큰 틀에서 조건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배수진을 쳤다.
앞서 국민연금은 채권단에 오는 21일 만기가 돌아오는 1900억원 규모의 대우조선 회사채를 우선 상환하거나 보증해 달라고 요청했다. 출자전환 비율 재조정,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주식 추가 감자(소각 등으로 주가 끌어올리기)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산업은행은 국민연금의 요청을 공식 거부한다고 공문을 보냈다. 정 부행장은 “실무선에선 P-플랜에 대비해 90%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대우조선 구조조정안 좌초 위기… P-플랜 향해 가나
입력 2017-04-10 17:55 수정 2017-04-10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