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은 10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서 북한이 ‘전략적 도발’을 할 경우 강력한 추가 조치를 취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방한한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나 북핵 문제 등을 논의했다. 김 본부장은 “한·중 양측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전략적 도발을 감행할 경우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강력한 추가적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이끌어내는 데 한·중 협력과 5자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여전히 사드(THAAD) 한반도 배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 본부장은 “중국 측은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며 “우리는 중국 측의 부당한 조치가 즉각 중단되도록 중국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협의에서 우 대표는 미·중 정상회담 결과도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북한의) 전략적 도발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우 특별대표의 이번 방한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에서 상당히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우 대표는 4∼5일간 한국에 머물며 각 대선 후보 캠프와도 접촉할 예정이다. 사드 한반도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의 보복조치를 총괄해온 천하이 외교부 아주국 부국장이 이번 방한에 동행해 각 후보 캠프를 대상으로 중국의 사드 반대 입장을 거듭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도 이날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을 만나 한·일 간 북핵 공조 문제 등을 논의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한·중 “북한 도발 땐 강력한 추가 조치”
입력 2017-04-10 18:33 수정 2017-04-10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