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아들’ 뽑은 고용정보원장이 밝힌 의혹의 실체

입력 2017-04-11 05:02

권재철(사진) 전 한국고용정보원장(현 한국고용복지센터 이사장)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아들 준용씨 채용 당시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채용공고 과정에 행정적 미숙이 있었고, 공고 내용에도 일부 잘못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그러나 업무상 단순 실수로, 특혜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권 전 원장은 국민일보와 만나 “(채용 공고가) 프레젠테이션(PT) 전문가와 동영상 전문가를 뽑기 위한 일반직 채용 공고로 나갔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문제가 불거진 뒤) 이 같은 내용을 (공고문) 위쪽으로 적었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고용정보원은 2006년 11월 말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채용 정보 사이트인 ‘워크넷’에 ‘연구직 초빙 공고’라는 제목의 공고문을 올렸다. 공고문 하단에 ‘일반직 약간명(전산기술 분야 우대)’ 글귀만 짧게 포함됐는데 준용씨가 전산기술 분야 동영상 전문가로 채용돼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

권 전 원장은 공고 기간이 통상보다 짧았던 부분에 대해서도 “좀 더 길게 공고를 내고, 홍보도 더 했다면 좋았을 것 같다”고 했다. 다만 “공고 기간을 짧게 한 건 제 결재사항이었다”며 “그해 12월 31일이 비정규직 상당수의 고용 기간 만료가 도래하는 시점이어서 이를 감안해 역산하다보니 직원들이 그렇게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부 감사에서도 그 부분이 지적됐다”며 “직원들이 행정상 정교하지 못한 행위로 견책을 받았다. 기관장으로서 내 잘못”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 실수였고 특혜는 없었다”고 의혹을 부인했다.

권 전 원장은 당시 일반직 채용에 외부 인사가 2명만 지원한 부분에 대해서는 “워크넷은 엘리트들이 들어와서 보는 게 아니라 취약계층이 보는 사이트였다”며 “워크넷으로 공고를 하다 보니 지원자가 대거 몰리지 않았다. 공고를 많은 분이 봤으면 좋았을 텐데 그렇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준용씨에게 나중에 물어보니 본인은 워크넷에 올라온 공고를 봤다고 했다”며 “준용씨 친구들도 워크넷을 다 들어가 본다고 했다”고 전했다. 권 전 원장은 “동영상을 잘 아는 사람이 있어야 외주 제작 업체들을 품평하고 주문할 수 있다”며 “고용정보원에는 제작 시설이 없다”고 말했다.

권 전 원장은 “(특혜 의혹이 제기된 건) 준용씨가 문 후보 아들이었다는 것과 제가 문 후보를 안다는 것 때문 아니겠느냐”며 “문 후보를 청와대에서 처음 봤고, 공교롭게도 사무실이 제 옆방이었던 것은 맞지만 (문 후보가) 남을 살갑게 대하는 사람은 아니다. (준용씨 관련) 이야기를 나눠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권 전 원장은 2003∼2005년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행정관·비서관으로 문 후보와 함께 근무한 직후 2006년 3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한국고용정보원 초대 원장을 지냈다. 준용씨가 채용된 건 2006년 12월이다.

국민일보 대선검증팀은 지난 2월 말 권 전 원장을 만나 준용씨 관련한 입장을 듣는 등 제기된 여러 의혹을 취재해 왔다. 권 전 원장은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도 특혜 의혹을 부인했다. 문 후보는 9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특혜를 받지 않았다’는 게 전부다. 그 이상은 고용정보원이 할 일”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전웅빈 문동성 김판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