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취약 포인트’ 청년표심 집중 공략

입력 2017-04-10 18:07 수정 2017-04-10 21:14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10일 경기도 하남시를 찾아 하남시장 보궐선거에 나선 유형욱 시장 후보 유세단원들과 악수하고 있다. 하남=최종학 선임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10일 청년공약을 발표하며 20, 30대 표심 구애에 나섰다. 골자는 청년고용보장제 실시, 대학 입학금 폐지, 청와대 청년수석실 신설이다. 안 후보는 대선 후보 확정 이후 ‘취약 포인트’를 보완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우선 안 후보가 약세를 보이는 청년층 지지 확보를 위해 첫 시동을 걸었다.

안 후보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청년일자리 BE(비)정상회담’ 토론회를 열고 취업준비생 등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앞으로 5년간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최악의 청년실업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며 청년고용보장제 도입을 공언했다. 중소기업 취업자 임금이 현재 대기업의 60% 수준인데 이를 80%로 높이겠다는 공약이다. 안 후보는 이를 위해 정부가 매년 10만 명에게 2년간 50만원씩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지원대상은 신성장산업 분야 중소기업, 우수한 기술을 보유했거나 개발 중인 중소기업 위주로 선정할 예정이다. 안 후보는 “추가 재원은 필요 없다. 현재 매년 집행되는 청년층 지원 예산 2조3000억원과 일자리 예산 17조원을 조정하면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대학 입학금 폐지 공약도 내놨다. 안 후보는 “고등교육법을 개정해서 대학 입학금을 폐지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입학금이 폐지되면 (각 대학은) 등록금을 올리고 싶은 유혹에 빠지겠지만 그것도 못 올리게 하겠다”고 했다. 청년 주거대책은 연간 5만 가구씩 공동임대주택을 늘리는 것이다. 안 후보는 “1인 가구 중심으로 공동임대 주택을 확대해 청년 주거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고 했다.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 중인 임차보증금 융자 지원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다짐했다.

청와대 청년수석실 신설도 약속했다. 안 후보는 “정부의 청년정책 대부분이 탁상공론”이라며 “청년을 청와대 수석으로 임명해 청년들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고 챙기도록 하겠다”고 했다. 안 후보는 일부 악덕업주의 ‘알바비 떼먹기’에는 “(중앙)노동위원회 인력을 보강해서 엄벌에 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해당 업체가 프랜차이즈인 경우 본사를 강하게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겨냥한 공세도 이어갔다. 안 후보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특강에서 “어떤 분은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는 데 대해 ‘정부가 할 일이다. 정부와 정치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주장하는데 저는 완전히 반대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는 것은 기업과 민간의 몫”이라며 “정부와 정치는 민간에서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문 후보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공약을 문제 삼은 것이다.

안 후보는 또 미국 대선 당시 언론보도를 예로 들며 “흠결이 있는 사람과 의혹이 있는 사람 중 진짜 의혹이 있는 사람도 있고 단순한 네거티브도 있지 않으냐”며 “둘 다 똑같은 놈이라고 언론에서 까다보니 결국 진짜 자격이 부족하고 실제 의혹이 있는 사람을 극도로 유리하게 만들어줬다”고 했다. 문 후보를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문 후보 측의 강도 높은 공세를 네거티브라고 깎아내린 것으로 해석됐다. 안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선 “(문 후보는) 네거티브 뒤에 숨지 말고 정정당당하게 본인의 비전과 정책, 철학에 대해 설명해주기 바란다”고도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