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들이 직접 경기도에 제안했던 ‘공유기숙사’가 정식 정책으로 채택돼 시범사업에 들어가게 됐다.
경기도는 9일 ‘(가칭)공유기숙사 공급 추진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정책은 경희대 주거환경학과 4학년 박해주·한지혜씨가 제안했던 것이다. 경기도는 대학생들의 제안이 청년 주거난 해결에 의미 있는 정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정책 제안자와 주택정책과·따복하우스과·교육협력과·경기도시공사 등 관련부서로 구성된 TF를 구성해 시범사업추진을 결정했다.
공유기숙사는 대학교 인근 주택을 매입해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저렴하게 대학생에게 공급하고, 입사생 선정 등 운영은 대학교가 전담하는 정책이다. 기존 대학생 대상 기숙사 정책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던 접근성 부족과 관리 부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도는 1대학 1기숙사를 목표로 오는 2021년까지 5년 동안 총 1480가구의 공유기숙사를 제공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는 안양대학교와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안양대의 참여의사를 확인함에 따라 안양대 인근 200m 내에 있는 다가구 주택 2동을 매입하기로 하고 이 중 한 곳은 매입을 완료했다. 나머지는 매입을 추진 중이다. 매입한 다가구 주택은 원룸 8가구 규모로 도는 오는 8월부터 입주를 실시할 계획이다.
도는 올해 말 시범사업 추진성과를 평가한 후 이를 정책 사업화 하고, 공유기숙사 사업과 연계된 연차별 매입임대 확대 물량을 국토부와 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 ‘공유기숙사’ 사업 추진
입력 2017-04-09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