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비 비리가 여전하고 이를 막기 위한 외부감사도 극히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무조정실 정부 합동 부패척결추진단과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아파트 관리비는 임자 없는 돈과 마찬가지라 할 정도로 줄줄 새고 있었다.
특히 지자체의 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비리가 의심되는 아파트 816개 단지 중 713개 단지(87.4%)에서 3435건의 비위 또는 부적정 사례가 적발됐다. 2015년 감사에서 72%가 지적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정부가 지난해 4월 아파트 관리비 비리를 막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으나 효과가 없었던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감사 자체가 부실하다는 점이다. 정부가 올해 처음 아파트 회계감사를 감리한 결과 외부 감사가 의무화된 300가구 이상 아파트 3349개 단지 중 53.7%에서 부실감사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관리비 유용을 막는 장치인 회계감사까지 엉터리였으니 비리가 상존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수 있다. 156개 단지의 감사를 싹쓸이한 한 공인회계사의 경우 단지 한 곳당 평균 감사일이 1.3일에 불과했다. 156개 단지 모두에서 감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파트는 국민의 절반 정도가 사는 중요한 주거시설이다. 단순히 주거시설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도 할 수 있다. 아파트 회계가 불법 덩어리라는 사실은 용서할 수 없는 범죄다. 관리비가 유용되면 시설 유지보수나 관리, 안전점검 등 생활여건이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가 비리 감시를 강화하고 주민교육을 학대하는 등 보완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 중요한 것은 주민들의 적극적인 관심이다. 아파트 자치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해 의결 사항을 꼼꼼히 챙겨보는 등 주민권리를 제대로 행사하는 것이 근본적 해법이다. ‘알아서 잘하겠지’라며 무관심하게 대처해서는 탈법 행위를 절대 근절할 수 없다.
[사설] 여전한 아파트 관리비 비리, 입주민 관심이 해법
입력 2017-04-07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