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정상회담 핵심 의제] 北核 최우선… 무역·남중국해 順

입력 2017-04-07 05:02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례 없이 북핵 문제 해결 의지를 강조해 왔다. 트럼프부터 국무부 고위 관계자까지 거의 매일이다시피 북한 문제를 언급했다.

매트 포틴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국장은 5일(현지시간) 외신기자클럽에서 브리핑을 갖고 미·중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북한, 무역, 남중국해”라고 설명했다. 북한 문제를 미·중 간 통상 갈등과 남중국해의 영유권 분쟁보다 먼저 언급했다.

포틴저 국장은 “중국이 북한발 위협을 대처하는 데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원한다”며 “북한은 더 이상 중국에 전략적 가치가 아닌 골칫거리”라고 말했다. 중국이 북한을 압박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한 것이다.

수전 손턴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은 “북한과 대화할 시간은 지났다”며 “전략적 인내는 소진됐으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북한 문제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정상회담 뒤 도출될 북핵 해법으로는 ‘중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를 철저히 이행하기로 했다’는 수준의 합의문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와 관련해 포틴저 국장은 “현 상황은 결국 북한에 대한 추가 압박으로 귀결될 것”이라며 “오직 중국만이 대북 경제제재를 할 수 있는 만큼 제재에 대한 대화가 많이 오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 주석이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을 중단하라는 트럼프의 요구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중국은 사드 배치가 중국의 전략적 이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역 갈등과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도 절충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미국의 대중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으름장을 놨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액션은 취하지 않고 있다.

남중국해도 미국은 항행의 자유를 명분으로 내세워 이 지역에서 무력시위하고 있지만, 중국이 인공섬 건설과 영유권 주장을 철회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그러나 트럼프나 시 주석 모두 국내 정치적으로 외교적 성과가 절실한 상황이어서 진전된 합의를 이룰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한편 시 주석의 이번 방미가 국빈방문 형식이 아니어서 의전 절차는 대거 생략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회담 장소가 백악관이 아닌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리조트로 정해진 것도 시 주석의 방미 성격이 형식상 실무방문이기 때문이다.

마라라고가 회담 장소로 정해진 건 미국 측의 배려라는 해석이 나온다. 마라라고는 ‘겨울 백악관’으로 불릴 만큼 트럼프가 자주 찾는 곳이다. 취임 이후 거의 매 주말을 이곳에서 보냈다. 트럼프가 아끼는 장소로 시 주석을 초대해 격식을 떠나 우정을 쌓는 모양새를 갖춘 것이다. 정상회담 기간은 1박2일이지만 실제 회담 일정은 6일 오후에 시작해 7일 오찬으로 끝나 만 24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정상회담은 7일 오전 시작된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