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6일 검찰청 포토라인에 다시 섰다. 피의자 신분이다. 그가 수사기관에 불려나온 것은 지난해 11월 검찰 특별수사팀, 올 2월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이어 세 번째다. 그는 각종 의혹에 대해 “검찰에서 성실히 조사받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 수감과 관련해서는 “대통령님 관련해서 참으로 가슴 아프고 참담한 그런 심정”이라고 했다.
우 전 수석의 혐의는 차고도 넘친다. 핵심은 직권남용과 직무유기다. 검찰은 우 전 수석을 상대로 최순실씨의 국정 개입을 알면서도 묵인·방조했는지를 집중 캐물었다. 미르·K스포츠재단을 둘러싼 진상을 은폐하고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자 이를 무마하기 위한 대책회의를 주도했는지도 조사 대상이다. 지난해 5월 민정수석실 산하 특별검찰반이 대한체육회를 감찰하려다 막판에 접은 일도 직무유기 범주에 포함됐다. 이밖에 세월호 수사 외압 의혹, 의경 아들 보직 압력 의혹 등도 살펴보고 있다. 드러난 의혹 외에 “별도로 보고 있는 것도 있다”고 했다.
검찰은 우 전 수석을 소환하기에 앞서 50명 가까운 참고인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중에는 세월호 사고 당시 수사책임자였던 윤대진 광주지검 형사2부장도 있고, 우 전 수석과 함께 민정수석실에 근무하던 현직 검사들도 포함돼 있다.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 관심은 수사 내용과 결과다. 우 전 수석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밝히기 위해서는 제 살을 도려내는 수사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김수남 검찰총장 등 검찰 수뇌부는 국정농단 사태가 한창인 지난해 우 전 수석과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관련 대화는 없었다고 부인하지만 검찰 수뇌부도 수사 대상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엄중히 새겨야 한다. 성역 없는 수사로 검찰 스스로 그간의 과오와 오명을 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사설] 우병우 세 번째 소환… 검찰 수뇌부도 수사해야
입력 2017-04-06 18:32 수정 2017-04-06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