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003년 청와대 민정수석 재임 당시 민정수석실이 노무현 대통령 사돈 배모씨의 음주 교통사고를 은폐했다는 논란이 재점화됐다. 문 후보 측은 “원칙적으로 처리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문화일보가 5일 공개한 청와대 보고문건에 따르면 배씨가 만취 상태에서 낸 교통사고는 음주측정 없이 단순 접촉사고로 처리됐다. 이 때문에 당시 문 수석의 묵인하에 민정수석실이 사고 사실을 비밀에 부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문 후보 측 김경수 대변인은 “일반적인 동향 보고는 이호철 민정비서관 선에서 자체 종결 처리했다”며 “문 후보가 2006년 언론 보도를 통해 이 사안을 알게 된 후 철저한 진상조사와 원칙적인 처리를 지시했다”고 해명했다. 사건 당시 문 수석은 음주 사고를 알지 못했고, 3년 뒤 알게 된 직후 진상조사를 거쳐 법 절차에 따라 사건을 처리했다는 설명이다.
범보수 진영과 국민의당의 이른바 ‘문모닝(아침마다 문재인 후보를 비판한다는 뜻) 협공’에 문 후보 캠프는 ‘정면 돌파’ 기조를 세웠다. 문 후보 캠프는 최근 자유한국당은 물론 국민의당까지 끊임없이 문 후보 아들 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취업 특혜 의혹을 제기하는 데 대해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내부 방침을 정했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아들 취업 특혜 의혹은 벌써 10년도 더 된 이야기로 새롭게 확인할 것도 없는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이제부터는 허위사실 유포 혐의 등으로 형사고발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형사고발을 하는 이유는 그만큼 떳떳하고 당당하다는 것을 밝히는 취지”라며 “문 후보 본인도 지난 3일 언론사에 ‘팩트 체크’를 요구할 정도로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캠프의 정면 돌파 방침은 30여일밖에 남지 않은 ‘초단기 선거’라는 점이 고려됐다. 형사고발 등 강경대응하지 않을 경우 상대방 공세에 내내 끌려다닐 수 있다는 게 캠프 판단이다. 또 형사고발로 심리적 위축을 일으켜 ‘루머’ 확산을 막겠다는 의도도 숨겨 있다.
캠프 내부에서는 취업 특혜 의혹이 국민 정서를 자극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두 차례 진행된 고용노동부 감사에서 법적 문제가 없다는 것은 밝혀졌지만 입사 14개월 만의 휴직이나 휴직 기간을 포함한 퇴직금 지급 등이 일반 국민의 정서에 어긋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캠프에서는 문 후보 아들과 비슷한 처우를 받은 다른 사례를 찾아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문재인, 노무현 사돈 음주사고 은폐 의혹 논란
입력 2017-04-05 21:21 수정 2017-04-06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