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폐기물, 스마트폰 활용 손쉽게 처리

입력 2017-04-05 21:35

쓸모가 없어진 가구나 가전제품을 버리려면 절차가 번거롭다. 아파트 주민이라면 경비원에게 수고비를 주고 부탁하는 수도 있지만 단독주택 주민은 주민센터에서 폐기물 배출 스티커를 구입하고 부착한 뒤 버려야 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불편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행정서비스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영상인식기술 활용 대형폐기물처리 서비스’라 이름 붙인 이 서비스는 주민이 폐기물 사진을 촬영해 전송하면 컴퓨터 인공지능(AI)이 가구의 종류·크기를 인지해 적당한 수수료를 부과한다. 주민이 모바일로 결제하면 폐기물처리업자에게 배출 위치가 전송돼 수거해 간다. 행자부는 민간 사업자를 선정해 서울 은평구에서 시범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한 후 다른 지자체로도 확산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행자부는 이 서비스를 포함해 ‘2017년도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4개를 선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대구시는 자연어 인식 기반의 지능형상담(챗봇)서비스를 시범 실시할 예정이다. 대구시의 여권분야 지능형민원상담시스템인 ‘뚜봇’이나 서울 강남구의 주정차 민원 인공지능서비스인 ‘강남구 민원봇’ 보다 기능이 개선됐다. 뚜봇이나 민원봇은 시나리오(검색어) 기반이어서 먹는 ‘배’와 물에 뜨는 ‘배’를 구분하지 못해 엉뚱한 답변을 내놓기도 하지만 이번에 시범 실시하는 서비스는 훨씬 더 지능적이다.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민원인의 질문과 의도까지 파악해 답변한다.

경기도는 소외계층 대상으로 관용차량 카셰어링(차량공유) 서비스를 시범 실시한다. 휴일에 운행하지 않는 관용차량을 무상으로 빌려주는 서비스다. 현재는 전화나 방문을 통해 신청하지만 시범 서비스는 소카, 그린카 등 민간 카셰어링업체의 앱과 웹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신청할 수 있다.

부산시, 충남도, 제주도 등 3개 지자체는 드론 활용 현장행정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2015년 전북도가 실시했던, 드론을 활용한 도로주변 불법 점용시설 현황 파악을 다른 지자체로 확산시키고 지장물·비탈면 조사 및 교량 점검 등 적용 분야도 넓히는 사업이다.

행자부는 이달 중 4개 사업을 수행할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고 조달청 심사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 연말쯤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김회수 행자부 지역정보지원과장은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기술을 행정분야에 적극 도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