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에 둔감한 교육당국… 어린이·청소년 야외활동 노출

입력 2017-04-06 05:02

어린이와 청소년 건강에 치명적인 미세먼지에 교육 당국과 일선 학교의 대응은 미온적이다.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은 지난해 전국 시·도교육청별 미세먼지 주의보·경보 발령 시 조치 현황을 분석해 5일 발표했다. 학생이 학교에 있는 평일 일과시간에 미세먼지 주의보·경보는 모두 32회 발령됐다. 세종시를 뺀 16개 시·도교육청이 대응 조치를 한 횟수는 25회였다. 시·도교육청별 평균 1.5번 수준이었다. 교육부 미세먼지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주의보가 발령되면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야외수업을 하지 말아야 하고 중·고교에선 자제해야 한다. 호흡기 질환 등 민감군 학생은 특별 관리해야 한다.

경기도에선 미세먼지 주의보·경보가 6번 발령됐지만 도교육청은 3회만 대응했다. 강원교육청은 주의보·경보가 2회 발령될 때 한 번도 대응하지 않았다. 충북교육청도 5번 발령에 3회만 대응했다. 반면 경북교육청은 4번 발령에 7번 대응했다. 녹색연합은 “경북은 정부 측정소와 별도로 교육청 자체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훨씬 민감하게 대응했다”고 평가했다.

일부 시·도교육청은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실효성은 의문이다. 서울교육청은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부터 순차적으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완비까지 수년이 걸릴 전망이며 야외활동에는 사실상 속수무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미세먼지 대응 매뉴얼이 지난해 3월 처음 학교에 배포돼 정착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시·도교육청과 일선 학교가 미세먼지 주의보나 경보가 떨어지지 않아도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안내하겠다”고 말했다.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