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지경 지방행정] 대구시, ‘먹통’ 환경시설물 양산

입력 2017-04-05 19:28
대구시가 환경개선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설치한 시설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시는 신공법 등을 내세워 의욕적으로 시설을 설치했지만 수요예측과 부실검증으로 먹통 시설물을 양산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5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가 국·시비 390억원을 투입해 만든 현풍하수처리장 2단계 시설(2만2000㎥ 처리 규모)이 1년 넘게 정상 가동을 못하고 있다. 이 시설은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내 폐수·생활하수 증가를 예상해 2016년 3월 설치했는데 시운전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방류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농도가 평균 20.2㎎/ℓ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부가 정한 법정 방류수질 기준 20㎎/ℓ와 시공사가 당초 약속한 18㎎/ℓ를 넘어선 수치다. 시는 준공승인을 미루고 시공사와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감사원은 시 관련부서와 시공사를 상대로 감사에 들어갔다.

시가 2008년 국·시비 355억원을 들여 설치한 달성 2차 산업단지 폐기물처리시설도 9년째 가동을 못하고 있다. 24시간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설은 매일 최소 50t의 폐기물을 태워야하지만 달성 2차 산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하루에 고작 7∼8t에 불과하다. 시는 외부 폐기물 반입도 추진했지만 주민 반대로 손을 놓고 있다. 잘못된 수요예측으로 지금까지 33억원의 예산이 유지관리비로 낭비된 셈이다.

국·시비 686억원이 투입돼 2013년 6월 준공된 서구 상리동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도 하루 288t을 처리하도록 설계됐지만 성능 문제로 하루 180∼230t만 처리하고 있다. 시는 최근 성능개선 작업에 들어갔지만 제대로 운영될지는 미지수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