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전 대표가 4일 국민의당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7차례 순회경선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75.01%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안 후보는 수락연설에서 “편가르기 정권이 아니라 실력 위주의 드림팀을 만들겠다”며 “국민의 대통령, 미래를 여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의 본선 진출은 최근 상승세를 볼 때 예견된 결과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20%의 벽을 돌파하기 시작했고, 일부 조사에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접전 또는 승리가 예상될 정도다. 사실상 중도·보수 후보 단일화라는 변수만을 남긴 채 35일간의 장미 대선이 본격 시작됐다.
안 후보의 지지율 급상승은 민주당 경선 후보였던 안희정 충남지사 지지표를 상당 부분 흡수한 데 기인한다. 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일부 보수층도 힘을 보태고 있다. 문 후보 진영의 패권적 행태들도 영향을 미쳤다. 어느 것 하나 안 후보의 독자적인 힘이라고 볼 수 없다. 여기에다 안 후보는 국정 운영 경험이 전혀 없다. 국민의당은 39석으로 열세가 뚜렷하고, 외부 인적 자원도 미약하다. 반사이익은 조그마한 바람에도 쉽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안철수 바람’이 한순간에 미풍으로 사그라들 수도 있다는 의미다.
향후 대선이 자신의 주장대로 ‘안철수의 시간’이 되려면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강화가 우선이다. 시간이 부족한 만큼 약점 보완보다는 강점 부각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미래 지향적 중도주의자로서의 자리매김이다. ‘적폐 청산’이라는 과거 프레임을 들고 나온 문 후보와 맞서기 위해선 미래 대통령으로서의 혁신적 집권 비전 제시가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미래 먹거리와 경제 전문가다운 경제위기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오픈 캐비닛’처럼 차기 정부 내각을 먼저 공개함으로써 대선 이슈를 선도해 나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정파와 이념을 뛰어넘는 인재 등용으로 협치를 먼저 실천하는 게 필요하다.
다음은 중도다. ‘안보는 보수, 경제는 진보’라고 했던 자신의 말처럼 뚜렷한 안보관을 갖추는 건 필수다. 다양한 분야에서 소외된 이들까지 챙기는 세심한 배려는 기본이다. 또 지난해 총선 당시 든든한 지지 기반이었던 호남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야 확장성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 ‘진보 대 보수’ 프레임을 벗어나 인물 경쟁 구도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연정과 협치 없이 차기 정부를 운영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대선 전 ‘반문 연대’에만 매달리는 것은 위험하다. 특정인 반대를 위한 연대는 민심이 감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강론을 바탕으로 해서 독자적인 콘텐츠로 몸집을 키우는 게 우선이다. 그 결과에 따라선 국민 여론에 의한 단일화가 쉽게 가능해질 수 있다. 사표를 막고 일방의 독주를 막기 위한 민심의 움직임은 언제나 존재했기 때문이다.
[사설] 안철수, 소수당으로 어떻게 국정 운영할지 밝혀야
입력 2017-04-04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