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30분씩 더 일하고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한국판 ‘프리미엄 프라이데이’가 이번 달부터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입된다. 장시간 근무 관행을 탈피하고 소비를 촉진하겠다는 취지지만 민간기업은 물론 공직 사회 내부에서조차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인사혁신처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인사처, 법제처, 기상청 등은 이달부터 매달 하루를 평소보다 일찍 퇴근하는 ‘가족과 함께하는 날’ 제도를 시행한다. 기재부는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 오후 4시 전 직원이 조기퇴근하고, 다른 부처들은 전 직원을 4개 그룹으로 나눈 후 그룹별로 번갈아 가면서 금요일 조기퇴근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다음달부터 전 부처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월 정부가 발표한 내수 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다. 당시 정부는 매월 금요일 한 번을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정해 소비를 진작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야근이 일상화된 직장문화에서 오후 4시 퇴근은 현실성이 떨어지고, 오히려 월∼목요일 30분씩 의무 근무시간이 늘어날 것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정부는 이런 싸늘한 여론에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범을 강행한 셈이다. 정부는 민간기업 참여 확대를 위해 정부 물품 조달에 혜택을 부여하는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라 밝혔지만 아직까지 참여하겠다는 민간 기업은 단 한 곳도 없다. 공무원 사회도 냉소적인 반응이 다수다. 경제부처 한 과장은 “연차를 의무적으로 소진하라고 해서 서류상으로만 휴가를 내고 출근하는 현실에서 꿈같은 얘기”라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논란 많은 매달 금요일 하루 오후 4시 퇴근제 이달부터 공무원 시범삼아 강행
입력 2017-04-03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