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조성된 서울 광화문광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광장이다. 그러나 진정한 광장의 모습이라기엔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보행이 단절돼 광장이라기보다는 ‘거대한 중앙분리대’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지난해부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방안을 검토해온 서울시가 올 하반기 리모델링 방침을 확정하고, 내년 3월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실시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유럽 순방 마지막 날인 2일 저녁(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동행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지난해부터 논의해온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방안을 연내 확정하고 새로운 정권과 협의해 시민민주주의의 상징적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9월부터 역사, 도시, 교통, 건축, 조경 등에 종사하는 전문가 그룹과 시민 그룹을 중심으로 광화문포럼을 구성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방안을 논의해 왔다. 현재까지 논의된 재구조화 방향은 세 가지다. 세종문화회관 방향 또는 미국 대사관 방향으로 확장하거나, 광장 양쪽의 세종대로 왕복 10차로를 5차로로 줄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보행로와의 단절 문제가 해결되고 광장의 구역이 넓어져 명실상부한 광장이 될 수 있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또 기존의 세종대로 주변은 보행친화거리로 조성돼 건축물의 저층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의 방향에는 광장 확대, 보행거리 조성 외에 광화문의 역사성 회복도 포함된다. 시는 광화문 앞 공간에 넓게 월대(月臺·궁궐 전각 앞에 놓인 섬돌)를 조성하고 해태상을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다음 달 시민토론회를 시작으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나선다. 8월에는 광화문포럼 주관으로 마스터플랜을 확정하고, 9월에는 중앙정부와 서울시 합동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어 내년 3월에 광화문광장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실시한다는 추진 일정을 확정했다.
박 시장은 “광화문광장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국가 상징광장으로서 충분한 격을 갖추도록 재구조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계획이 실현되려면 경찰 등 중앙정부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서울시가 2015년 광복7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세종문화회관 쪽 차도를 보도로 바꿔 광화문광장을 확장하려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당시 경찰은 교통 혼잡, 경호 상의 문제 등을 들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는 중앙정부의 협조가 필요한 사항”이라며 “촛불집회에 힘입어 탄생하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 서울시의 구상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런던=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광화문광장, ‘민주주의 상징’으로 재탄생
입력 2017-04-04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