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스포츠대회에 관련 규정과 절차에 따라 신청한다면 규정과 절차에 따라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유엔이 하는 (대북) 제재와 여러 국가들이 하는 제재 속에 북한의 국제 스포츠대회 참가를 금지하는 규정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변인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예비 엔트리 등록이 7월부터 9월까지이고, 최종 엔트리는 내년 초까지 제출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최문순 강원지사는 전날 2017 국제아이스하키연맹 여자세계선수권대회 참가를 위해 강릉을 방문 중인 북한 관계자가 ‘평창에 오겠다’며 동계올림픽 참가 의향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최 지사는 “예의상 한 이야기는 아니었을 것”이라며 “이 대회에 참가했다는 건 평창올림픽에도 오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최 지사 언급과 관련해) 정부와 특별한 교감은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의 내년 2월 평창올림픽 참가가 이뤄지면 그동안 막혀 있던 민간 차원의 교류 물꼬가 트이면서 남북관계 개선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남북은 이미 아이스하키와 여자축구 등 국제 스포츠대회에 교차 참가하면서 민간 교류의 문을 두드린 상태다. 특히 5월 조기 대선에서 정권교체 가능성이 큰 만큼 새 정부 출범 이후 남북이 개선을 시도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북한은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선수단을 보낸 바 있다. 2002년에는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북한 응원단이 이슈가 됐다. 경색 국면이 이어지던 2014년에는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등 북한 최고위 실세가 폐막식에 맞춰 인천을 찾기도 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남과 북 모두 국제 스포츠대회를 관계 개선의 전기로 삼고자 하는 마음이 있을 것”이라며 “새 정부 출범 이후 평창올림픽이 열리기 전까지 7∼8개월간 양측의 의지에 따라 대회 의미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평창올림픽 北참가 허용 방침”
입력 2017-04-03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