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주식 추가 감자 없다”

입력 2017-04-02 21:43 수정 2017-04-03 00:00
금융 당국이 대우조선해양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추가 주식 감자(減資)는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회사채 투자자 등이 대우조선 채무재조정안 수용 대가로 언급하고 있는 주식 소각 요구를 일축한 것이다. 오는 17∼18일 사채권자 집회까지 금융 당국, 산은과 국민연금 등 투자자들의 신경전이 계속될 전망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2일 “내부적으로 산은의 감자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채무재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P-플랜(프리패키지드 플랜·사전회생계획제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 채무재조정안은 시중은행이나 회사채 투자자들의 대출·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대우조선 지분은 산업은행 56%, 사채권자 17.5%, 시중은행 13.5% 정도로 정리된다. 사채권자 등 입장에서는 정상화가 불투명한 대우조선 주식은 실익이 없다는 불만이 나온다. 산은이 주식을 추가로 소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주식 소각이 이뤄지면 채권단의 주식 가치를 올릴 수 있다. 대우조선 관리 실패 책임이 있는 산은이 희생하라는 논리다.

하지만 금융 당국 입장은 강경하다. 산은은 지난해 12월 대우조선 주식 6000만주를 무상감자 후 소각했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당시 산은이 책임을 지면서 시중은행이나 사채권자 손실이 줄어들었는데 또 감자를 할 순 없다”고 말했다.

팽팽한 대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약 2주 후 열릴 사채권자 집회에서 국민연금 등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산은은 다음주까지 대우조선 노조로부터 임금 반납 등에 무분규로 동참한다는 동의서를 받을 계획이다. 시중은행들의 채무재조정 동의 협약서는 오는 7일까지 받기로 했다. 회사채 투자자 설득에 필수 조건들이다. 국민의당 천정배 의원실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모두 3887억원 상당 대우조선 회사채를 들고 있다. 채무재조정안을 수용하면 회사채 50%를 출자전환한다. 출자전환 전액을 손실로 보면 최소 2000억원 정도 손실을 입는 것이다. 하지만 P-플랜에 돌입하면 회사채 93%를 출자전환해야 한다는 실사 결과도 있다. 원금의 7%만 확실히 건질 수 있다는 얘기라 투자자들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