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 차원의 ‘도시외교’를 선언했다. 세계 각국 도시들과의 교류·협력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유럽을 방문중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1일 오후(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우호친선 관계 형성에 주력했던 서울시 국제교류 활동의 목표를 글로벌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협력으로 재설정하고 도시외교를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며 2020년까지의 중장기 계획과 과제를 담은 ‘서울시 도시외교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시청과 투자출연기관, 자치구 등의 국제교류업무를 통합·조정하고 도시외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외교 정책회의’를 설치해 컨트롤타워를 맡길 예정이다. 또 도시외교를 위한 재원으로 지난해 말 27억원 수준의 대외협력기금을 2020년 100억원까지 조성한다.
시는 먼저 세계 주요 도시 시장들이 서울에 모여 교통, 환경, 주거, 상수도 등 도시문제 해결 사례와 정책을 공유하는 시장급 국제회의인 ‘서울 도시정책 공유 시장회의’를 신설하고 오는 10월 서울에서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이날 “국가가 주도하는 정치·군사 중심의 전통적인 외교는 글로벌 이슈나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데 대안적 외교로서 도시외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면서 “서울시는 압축성장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해외 도시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도시외교를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도시수출’을 대한민국의 미래 수출전략으로 삼고 싶다”는 얘기도 했다. 그는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도시들이 생겨나면서 도시계획 컨설팅, 도시 기반시설 구축, 도시 건설 등과 관련한 큰 시장이 열리고 있다”며 “인프라 개발이나 도시문제 관련 정책 수요가 높은 아세안이나 독립국가연합(CIS), 인도, 중국 등을 전략적 교류 대상지로 설정해 도시외교를 진행한다면 도시수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는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 몽골 울란바토르와 함께 동북아 4개국 수도 간 상설 협력체인 ‘동북아 수도 협력기구’ 설립도 제안할 예정이다. 이 기구를 통해 2000년 이후 중단된 동북아 주요 도시 간 회의를 정례화하고 상호협력 수준을 높이면 국가 간 갈등이 극심한 이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 시장은 취임 후 도시 간 교류·협력의 중요성에 주목해 자매우호도시를 늘리고 국제기구를 유치하는데 힘써왔다. 또 교통카드 시스템과 상수도 관리,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권분석 등 서울시의 우수 정책들을 25개국 36개 도시에 수출했다.
빈=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도시외교 선언… 국제 협력 수준 확 높인다
입력 2017-04-02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