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석 “선체 절단 유연하게 대처하겠다”

입력 2017-04-01 00:05 수정 2017-04-01 00:33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이 31일 전남 목포시 호남동 목포역 앞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선체조사위는 세월호 선체 절단에 반대하는 의견을 해양수산부에 전달했다. 뉴시스

세월호 선체에서 객실 부분만 절단해 바로 세우는 수색 방식을 두고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선체조사위원회가 반대하면서 최종 결정의 키는 해양수산부가 쥐게 됐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며 기존과 다른 입장을 보였다.

그동안 해수부는 선체 절단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해 왔다. 진상 규명을 원하는 유가족들은 ‘절대 불가’를 고수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정부와 유가족 간 의견 충돌이 미수습자 수색에 차질을 줄 것이라며 우려했다. 그러나 김창준 선체조사위원장이 30일 반잠수식 선박에 실린 세월호를 둘러본 뒤 분위기는 달라졌다. 김 위원장은 31일 목포역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절단과 직립은 미수습자 수습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아니고 진실 규명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전했다. 미수습자 가족과 유가족 간 갈등은 없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이날 저녁 목포신항을 찾아 미수습자 가족과 유가족을 만난 뒤 “전문가들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선택한 방식이지만 이를 고집하거나 얽매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선체 진입을 해보면서 보정·보완하고 변경하는 등 유연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선체정리 업체로 선정된 코리아샐비지도 한발 물러섰다. 코리아샐비지는 당초 해수부에 선체 절단 방식을 제안했었다. 류찬열 코리아샐비지 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조건 선체 절단을 강조한 것은 아니다”라며 “플랜B는 현재 모습대로 수색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코리아샐비지 측은 발주처인 해수부가 선체 절단 방식을 고수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했다.

세종=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