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6∼7일(현지시간) 예정된 첫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백악관과 중국 외교부가 공식적으로 밝혔다. 북핵이 주요 의제로 잡히면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보복 문제도 함께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리는 첫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북한과 무역, 남중국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양국은 남중국해부터 무역·북한까지 큰 문제들을 안고 있으며, 1박2일 일정의 정상회담 기간에 많은 것들이 논의의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외교부 장쩌광 부부장도 31일 베이징에서 가진 정상회담 관련 기자회견에서 ‘북핵 문제와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느냐’는 질문에 “양국 정상 간 첫 회담으로 양측은 매우 많은 안건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중 관계의 새로운 시기의 발전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면서 “한반도 핵 문제에 대해 양측은 매우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도록 더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한국에 대해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을 중단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최근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 사드 보복을 중단하고 북한을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이미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 조시 로긴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동북아의 동맹국들이 예의 주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에서 한국을 옹호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아시아 동맹국들에 미국의 안보공약 확약 의지에 대한 분명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미·중 정상회담 핵심 의제는 北
입력 2017-03-31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