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업체들이 2017 서울모터쇼에 등장했다. 이들은 IT 기술과 자동차를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로 외연 확대를 노린다.
네이버의 기술연구개발 법인 네이버랩스는 30일 서울모터쇼 프레스데이에서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3차원 실내지도 등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네이버랩스 자율주행차(사진)는 국내 IT 기업 최초로 국토부 도로주행 임시 허가를 받은 차량으로 현재 실제 도로에서 실험주행을 하고 있다. 이 차량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자율주행 기준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완전자율주행(레벨4) 단계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개발 중이다.
이번 모터쇼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통해 도로 위 사물과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차량의 경로를 계획하고, 측후방 영상에서 빈 공간을 판단해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다.
네이버와 네이버랩스는 2017 서울모터쇼에 1000㎡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자율주행차,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제품, 3차원 실내지도 매핑 로봇 ‘M1’, 네이버 자동차 서비스의 차량정보 확인 체험공간 등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집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H2C(Home to Car)’ 서비스를 소개한다. SK텔레콤의 스마트홈과 자동차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연동한다. 집에서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를 통해 자동차 위치 찾기, 시동 켜고 끄기, 전조등·미등 켜고 끄기, 온도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차에서 집 안의 조명·온도·가스 등을 제어하는 C2H(Car to Home)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KT는 AI 서비스 ‘기가지니’와 현대자동차 아이오닉을 연동한 H2C 서비스를 선보였다. 아이오닉에 기가지니를 연동해 원격시동, 위치안내 등 AI 기반의 음성 인식을 통해 차량 제어를 시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네이버·SKT·KT도 모터쇼 등장
입력 2017-03-30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