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순회경선이 본격화되면서 당의 대선 주자들이 일제히 ‘세종시 행정수도론’을 꺼내들며 충청 표심 끌어안기에 나서고 있다.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한 충청 민심 공략을 위한 ‘국회 분원 세종치 설치’ ‘정부부처의 세종시 추가 이전’ 등 행정수도 기능 강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문재인 전 대표는 29일 대전 충무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 후보 충청권역 선출대회에서 연설을 통해 “행정수도 세종시의 꿈을 이어가겠다”며 “충청에서 대한민국 균형발전을 기필코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제 사람이 태어나면 서울로 보내야 한다는 옛말은 없어질 것”이라며 “지역으로 사람과 기업이 몰리는 전 국토 균형발전의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는 국회 분원 설치를 비롯해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 등 정부부처를 세종시로 옮겨 행정중심도시 기능을 강화하는 공약도 발표했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도 세종시 행정수도론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상태다. 안 지사는 최근 국회와 청와대, 대법원, 대검찰청 등 주요 기관을 이전해 세종시의 행정중심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시장도 세종시에 국회 분원과 청와대 제2집무실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민주당 대선 주자들은 개헌을 통해 세종시 행정수도론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26일 경선 토론회에서 “우리가 지금 논의하는 개헌 과제에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과제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 지사도 “행정수도 이전에 가장 걸림돌이 됐던 헌법재판소의 ‘관습 헌법’ 결정을 극복해야 한다”며 “자치분권 헌법 개정을 할 때 수도에 대한 명문 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전을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는 방안도 대선 주자들의 핵심 공약에 포함돼 있다. 문 전 대표는 스마트 융·복합 첨단 과학산업단지를 만들겠다고 약속했고, 이 시장은 대덕연구단지 인프라를 활용해 첨단 산업단지로 재개발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민주 주자 앞다퉈 공약… 또 불붙은 행정수도론
입력 2017-03-29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