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인공지능(AI)을 갖춘 금융친구 소리(SORi)예요.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엄마한테 10만원 보내줘.”
스마트폰을 켜고 말을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척척 송금해주는 ‘AI 뱅킹’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AI가 콜센터나 은행창구 업무를 대체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은행은 28일 금융권 최초로 음성인식 AI 뱅킹 ‘소리’를 출범했다. 우리은행 모바일앱을 켜고 위쪽 아이콘을 터치하면 소리가 인사말을 건넨다. 송금 기능을 쓰려면 미리 받는 사람 계좌를 등록해야 한다. “엄마에게 10만원 보내줘”라고 말하자 음성을 인식한 뒤 ‘엄마’로 등록된 상대방의 입금계좌 정보가 나타났다. “보내줘”라고 한 번 더 말하면 스마트폰 지문인식을 거쳐 송금이 완료된다. 환전, 공과금 납부도 가능하다. “300달러 환전해줘”라고 말하자 “아래 환율을 참조해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해당 시점의 원·달러 환율이 나타났다. “실행해줘”라고 말하면 환전이 된다.
KEB하나은행은 문자메시지로 송금하는 텍스트 뱅킹 서비스를 지난해 선보였다. 마찬가지로 미리 계좌를 등록해야 한다. “여보, 10만원”이라는 문자메시지를 하나은행 대표 전화번호로 보내면 “맞으면 인증번호 ○○을 보내주세요”라는 답문이 온다. 두 자릿수의 인증번호를 보내면 송금이 된다. 생체인증 절차도 필요 없다.
금융업무 상담을 해주는 ‘챗봇(채팅+로봇)’도 인기다. NH농협은행은 카카오톡 기반 ‘금융봇’을 지난해 11월부터 운영 중이다. 금융봇이 설명하는 메뉴 번호를 클릭하면 예·적금 혹은 대출상품 등을 찾아볼 수 있다. KB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도 챗봇 서비스를 연내 출범할 계획이다.
AI 뱅킹은 아직 사람이 하는 업무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준은 아니다. 송금 서비스는 간편송금에 음성·문자 인식기능을 가미한 것에 가깝다. 챗봇도 상담원처럼 고객 맞춤형 업무를 하지 못한다. 자동응답 형식에 머물러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은 걸음마 수준이고 마케팅 차원의 서비스에 가깝다”면서도 “시간이 흘러 AI 데이터가 축적되면 단순 상담업무는 상당 부분 대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금융·유통에 불어오는 ‘AI 바람’] “10만원 보내” 한마디에 송금 척척
입력 2017-03-30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