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쇼핑 편의 서비스 경쟁에 나섰다. 선호하는 브랜드와 쇼핑 취향이 저마다 다른 고객들에게 AI 기반 서비스를 통해 일대일 맞춤 마케팅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신세계백화점은 30일부터 AI 고객분석 시스템 ‘S마인드’를 통해 일대일 개인화 마케팅 시스템을 선보인다고 29일 밝혔다. 신세계 S마인드는 구글이나 IBM 등 AI 해외 기업과의 협업이 아닌 국내 기술력으로 모델을 자체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신세계는 S마인드를 활용, 고객 성향을 정밀 분석해 타겟 마케팅에 나선다. 신세계백화점 매장에 자주 방문하는 500만여명 고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구매 기록은 물론 성별, 연령, 지역, 구매 빈도 등 100여개의 변수로 빅데이터를 만든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별 선호 브랜드 100개씩 총 5억개의 선호 브랜드를 매일 산출한다. 이 중에서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와 관련 쇼핑 정보를 매칭해 애플리케이션으로 안내하는 방식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마케팅 적중률을 높여 연간 1000억원 이상의 매출 증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I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그룹이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12월 한국IBM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IBM AI 솔루션 왓슨을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신동빈 회장은 AI 기술을 그룹의 신성장 동력으로 강조해 온 바 있다.
롯데백화점은 오는 12월 상용화를 목표로 ‘추천봇(가칭 쇼핑어드바이저)’을 개발 중이다. 마치 백화점 안내사원이나 숍매니저(매장 직원)처럼 음성이나 문자로 응대하면서 고객이 선호하는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고 매장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SK플래닛이 운영하는 11번가도 이날 챗봇(대화형 로봇) 기능을 도입한 상품 추천 서비스 ‘디지털 컨시어지 챗봇 바로’를 선보였다. 제품이 다양해 구매 결정이 쉽지 않은 디지털·가전 상품군을 대상으로 챗봇 ‘바로’가 모바일 채팅을 지원한다. 고객이 찾는 맞춤 상품을 추천하고 고객이 입력한 내용에서 최적의 답변을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금융·유통에 불어오는 ‘AI 바람’] “이 코트 어때요” 1대1 맞춤 추천
입력 2017-03-30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