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깎는 쇄신 앞둔 전경련 “임직원들 고통 분담 필요”

입력 2017-03-27 19:00 수정 2017-03-27 21:11

“10명 중 3명은 조직을 떠나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권태신 상근부회장은 27일 오전 임직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1997∼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구조조정 경험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권 부회장은 “전경련이 현재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만큼 임직원들의 고통 분담이 필요할 수 있다”는 말을 전하며 여러 차례 울먹였다고 한다. 명예퇴직뿐만 아니라 급여 삭감, 복지 축소 등의 필요성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수뇌부의 책임을 일반 직원에게 전가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요 임원 연봉 삭감 등 수뇌부의 쇄신책이 먼저 나와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전경련 이날 팀장급 인사를 단행하며 조직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지난 24일 혁신안을 발표한 지 3일 만이다. 인력 규모를 줄이는 구조조정도 뒤따를 전망이다.

전경련은 29일자로 시행되는 팀장급 인사를 통해 기존 23개 팀을 6개로 줄였다. 기존의 7본부 체제는 커뮤니케이션본부와 국제협력실, 사업지원실의 ‘1본부2실’ 체제로 축소됐고 팀은 커뮤니케이션본부 산하 3팀과 사업지원실 아래 3팀만 남게 됐다.

전경련의 팀장급 인원 6명은 한국경제연구원으로 파견된다. 이는 기존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의 정책연구기능을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으로 이관키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전경련은 조만간 일반직원 인사도 단행할 방침이다. 조직 축소개편에 따라 일부 직원에 대한 구조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경련의 재정상황은 구조조정 없이는 유지되기 힘든 상황이다. 삼성을 비롯한 현대·SK·LG 등 주요 대기업의 탈퇴로 전경련이 운용할 수 있는 예산이 확연히 줄어들었다. 지난달 24일 비공개 회의에서는 올해 예산을 전년 대비 40% 줄어든 235억원으로 책정했었다. 당장 전경련 회관에 입주해 있던 일부 기업이 사무실을 이전하면서 돌려줘야 할 보증금마저도 전경련에 부담이 되는 상황이라고 한다. 기존 전경련 회관의 44∼47층을 사용하던 전경련은 2개 층을 비워 외부에 임대키로 했다.

전경련은 임직원 인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혁신안에서 밝힌 경영이사회와 분과별 위원회·협의회 구성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의사결정기구 역할을 했던 회장단회의를 대신할 경영이사회는 주요 회원사 전문경영인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분과별 위원회·협의회는 경제단체로서 회원사 의견을 수렴하는 공식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