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 사고의 원인을 밝혀줄 세월호가 떠올랐지만 오히려 의혹은 늘고 있다. 탑승기록에 없는 신원 미상의 미수습자가 더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새롭게 등장했고, 러더(방향타) 각도가 달라진 것을 둘러싼 논란도 증폭되고 있다.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김성훈 조사관은 27일 “세월호 인양의 첫 번째 과제는 9명의 미수습자를 수색하는 것인데 미수습자는 화물칸 등에 더 있을 수 있다”며 “‘9명+알파(α)’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배를 탈 때는 사고 등에 대비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등을 기재한다. 그러나 화물로 적재되는 차량에 인적사항을 기재하지 않고 탑승한 사람들이 종종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건설현장 등에 투입되는 외국인이 미등록된 상태에서 세월호에 탑승했다면 실종 신고조차 되지 않았을 수 있다.
사고 당시 세월호에는 총 2143t의 화물이 적재돼 있었다. 승용차와 승합차 124대, 화물차 52대, 특수차 9대 등 차량만 185대였다. 여객선 1등 항해사 A씨는 “뱃삯을 아끼려고 무임승차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며 짐이 실린 상태를 항해일지에 쓴다고 밝혔다. 그는 “세월호도 제주 해군기지 등 건설현장 자재를 싣고 갔기 때문에 외국 국적의 인부들이 미신고로 탑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세월호 방향타도 의심의 대상이다. 방향타의 각도는 2014년 검·경 합동수사본부 등 수사 당국이 사고 원인이라 밝힌 세월호의 오른쪽 급변침(급격한 회전)을 뒷받침할 중요한 단서다. 전문가들은 현재 모습대로 방향타가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5도 정도 꺾인 상태라면 급변침은 없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방향타 방향이 사고 때와 아예 달라졌다는 얘기도 나왔다. 세월호가 침몰할 때 찍힌 사진 등을 보면 방향타는 중앙에서 좌현 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일각에선 인양작업 과정에서 정부가 수사 결과에 맞춰 방향타를 조정했을 것이라는 의구심을 제기한다. 반론도 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해양 전문가는 “방향타는 유압시스템으로 조정해 웬만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침몰로 충격을 받아 유압시스템이 고장 났다면 조그만 힘에도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양 과정에서 좌현 램프(차량 및 화물 진입문)를 절단한 게 ‘증거 은폐’라는 의심도 가시지 않고 있다. 좌현 램프는 그동안 침몰 원인으로 꼽히기도 했다. 좌현 램프는 지난 23일 밤부터 11시간 동안 작업을 통해 잘려나가 현재 바닷속에 있다.
2104년 경찰 조사에서 세월호를 증·개축한 업체 과장은 “램프의 틈 등이 바닷속에 잠기면서 세월호에 물이 들어왔을 것”이라고 했고, 이준석 세월호 선장은 “차량 출입구가 낡아 빛이 들어왔다”고 진술했다. 진상규명을 위해 선체 훼손은 절대 불가라는 유가족들의 시선이 인양에 쏠려 있을 때 정부가 램프 절단을 시행했다는 의심을 받는 이유다. 논란이 이어지자 해양수산부는 램프를 회수해 오겠다고 밝혔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세월호 선체따라 의혹도 부상… 미수습자 ‘9명+α’說
입력 2017-03-27 18:07 수정 2017-03-27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