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보수 진영 ‘문재인만 때리기’… 노림수는 뭔가

입력 2017-03-27 18:06 수정 2017-03-27 21:30
범보수 진영이 모든 화력을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쏟아붓고 있다. 다른 이슈들은 제쳐두고 ‘문재인만 때리기’로 작심한 듯 보인다.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의 막이 본격적으로 오르자 이런 양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문재인 대세론’을 의식해 ‘문재인만 공격하면 된다’는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물고 늘어지는 부분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됐다는 의혹에 대한 ‘문재인 책임론’이다. 특히 한국당 홍준표 경남지사가 이 부분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 홍 지사는 27일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노 전 대통령이 (박연차 전 회장으로부터) 640만 달러 뇌물을 받았을 때 문 전 대표는 청와대 비서실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전 대표가 640만 달러(수수 의혹)를 알았다면 공범이고, 비서실장이 몰랐다면 박근혜 전 대통령이 최순실을 몰랐다고 주장하는 것과 똑같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문 전 대표가) 몰랐다면 박 전 대통령을 비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홍 지사는 또 “노무현정권은 ‘안희정 뇌물’로 출발해 ‘박연차 뇌물’로 끝나지 않았느냐”면서 “그 당시(노무현정부)에 2인자 하신 분이 대통령을 하겠다는 것은 ‘뇌물 공화국’을 한 번 더 하자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둘째는 문 전 대표 아들 준용씨의 채용 특혜 의혹이다. 문준용씨가 노무현정부 때인 2006년 12월 한국고용정보원 5급 일반직에 채용되는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게 범보수 정당의 주장이다. 한국당은 문준용씨가 서류 접수 마감 이후 응시원서를 제출했고, 2명 뽑는 데 2명이 지원했으며 채용 당시 채점표 원본이 삭제됐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보수 진영은 ‘제2의 정유라 사건’으로 부르고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아들의 ‘꽃보직 의혹’과 뭐가 다르냐”며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 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이날 “문 전 대표의 아들이 취업 특혜 의혹도 모자라 미국 유학 시절 뉴욕 소재 웹 애플리케이션 업체 인턴으로 취업했던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문준용씨는 입사 1년2개월밖에 안 된 새내기 신분으로 휴직계를 던지고 무급 인턴으로 이중 취업했다”고 주장했다.

셋째 이슈는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튀어 나왔다. 민주당의 일부 지역위원회가 문 전 대표 지지를 권유하면서 ARS 인증번호까지 수집했다는 언론 보도가 발단이 됐다. 한국당은 “민주당 ‘폰떼기’ 경선 실태가 점입가경”이라며 “보이스피싱에서나 쓰일 법한 선거인단 모집 수법이 등장했다”고 열을 올렸다. 또 문 전 대표 지지 행사인 ‘새로운 전북포럼 출범식’ 당시 대학생들이 동원됐다고 주장했다.

네 번째 타깃은 보수 진영의 고정 레퍼토리인 문 전 대표의 안보관이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이 아닐 수 있다고 의심하는 정당이 집권하면 군인들은 어디에 충성을 맹세하느냐”고 되물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