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7일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와 충북·세종의 상생 발전방안 추진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이날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종역이 신설되면 예산낭비와 지역갈등을 초래하고 지역 이기주의를 부채질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할 것”이라며 “세종역 신설은 명분과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KTX 역간 적정거리는 57.1㎞인데 세종역이 건설되면 오송역∼세종역∼공주역 거리는 겨우 22㎞에 불과하다”며 “고속철도가 저속철도로 전락하고 안전과 서비스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모든 정당과 대선 후보에게 세종역 신설을 반대하고 충북·세종 상생 대안을 지지할 것을 요구하는 질의서를 발송할 것”이라며 “충북도민이 원하는 수준의 답변을 내놓지 않으면 낙선운동도 고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비대위는 상생 대안으로 오송역 복합환승센터 구축, 세종시 광역철도의 조속한 건설,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의 공주시까지 확대 등을 제안했다.
KTX 이용자들이 오송역에서 세종시, 청주시로 연계되는 대중교통이 부족한 것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는 만큼 오송역 주변에 고속·시외버스 터미널을 입주시키고 대전∼정부세종청사∼오송역∼청주공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를 신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세종시를 관통하는 광역철도 신설이 대전과 청주가 함께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또 “이해찬 의원과 이춘희 세종시장은 세종역 신설 추진을 포기하고 상생 대안을 수용하라”며 “세종역 신설을 고집하면 세종시의 행정수도 완성론을 강력히 반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세종역 신설 예정지는 세종시 금남면 발산리 일원으로 오송역과 15㎞, 공주역과 20㎞ 정도 떨어져 있다. 국토교통부와 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12월에 마무리하기로 했던 세종역 신설 타당성 조사 기한을 오는 4월까지로 연장했다.
청주=글·사진 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KTX 세종역 철회하고 상생방안 추진해야”
입력 2017-03-27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