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대선 주자인 유승민 의원이 네 차례의 권역별 국민정책평가단 투표 결과 남경필 경기지사에게 전승을 거두며 승기를 잡았다. 남 지사는 유 의원과의 격차를 점차 줄여가고 있다며 막판 대역전의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다. 문제는 최종 후보를 선출한 다음이다. 누가 대선 후보가 되더라도 미미한 지지율을 끌어올리지 않고선 대선 승리는커녕 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
유 의원은 25일 종료된 호남·영남·충청·수도권 국민정책평가단(2689명) 투표 결과 1607명(59.8%)을 확보해 남 지사(1082명·40.2%)를 앞섰다. 국민정책평가단 투표 결과의 경선 비중은 40%다. 여기에 25∼26일 실시한 일반국민 여론조사(30%)와 26∼27일 당원선거인단 투표 결과(30%)가 반영된다. 마지막으로 28일 열리는 후보자 선출대회에서 대의원 3000여명의 현장투표 결과를 당원선거인단 투표 결과에 반영해 최종 후보가 선출된다.
수치로만 보면 유 의원이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남 지사 측은 계속 격차를 줄여가고 있으며, 앞으로 승산이 충분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호남권(19일)과 영남권(21일) 국민정책평가단 투표에서 유 의원은 각각 26.2% 포인트, 29.6% 포인트 남 지사에 앞섰다. 충청권(23일) 수도권(25일) 투표에선 두 후보 간 격차가 각각 13.0% 포인트, 14.6% 포인트로 줄었다.
바른정당 지도부는 소속 대선 후보 선출 이후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유 의원과 남 지사 모두 저조한 지지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바른정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동참했지만 당이나 대선 주자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 검찰 수사나 세월호 선체 인양 작업도 바른정당 지지율을 반등시킬 긍정적인 변수는 아니다.
자유한국당이나 국민의당과의 후보 단일화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바른정당의 한 의원은 26일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있는 10% 이상 득표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이라고 당 분위기를 전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유승민―남경필 미미한 지지율에 ‘맥 빠지는 경쟁’
입력 2017-03-26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