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노인, 장애인 등을 위한 도시철도 무임수송으로 발생한 손실에 대해 정부에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시는 2018년도 국비확보 계획에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분 지원’ 명목으로 532억원을 반영했다고 26일 밝혔다. 내년 지하철 무임수송 예상 건수 4254만9000건에 요금 1250원을 곱해 추산한 액수다.
시가 도시철도 무임수송에 대해 액수를 정해 국비 지원을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정부 정책에 따라 대구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한 1997년 11월부터 현재까지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에 대해 무임수송 혜택을 주고 있다.
하지만 노령인구 증가 등으로 무임수송 건수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에 따라 손실액도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대구도시철도 무임수송은 2011년 2673만5000건, 2012년 2819만5000건, 2013년 3008만4000건, 2014년 3108만4000건, 2015년 3632만1000건, 2016년 4072만500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손실액도 2011년 274억원에서 지난해 448억원으로 급격하게 늘었다. 지난해 대구도시철도 운영 적자의 33.2%가 무임수송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따라 도시철도 무임수송을 하기 때문에 국비지원이 꼭 필요하다”며 “한국철도공사가 정부로부터 손실분 절반 이상을 보전 받는 것을 보더라도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광주 등과 함께 국비지원 공동 요구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시,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 국비 지원 요청… 서울·부산 등과 공동 추진
입력 2017-03-26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