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뭍으로 올라오고 9명의 가족을 찾는 데 (잠시 침묵) 우선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단원고 2학년 2반 허다윤양 아버지 허흥환씨)
“우리 은화 세월호 속에 그만 있어도 되는구나. (울음) 미수습자 엄마로서 유가족이 되는 게 소원입니다.”(단원고 2학년 1반 조은화양 어머니 이금희씨)
세월호가 바다 위로 떠오른 23일 전남 진도군 맹골수도의 선상에서 미수습자 가족들은 미수습자 수색이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4·16연대와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16국민조사위원회 등 세월호 유가족 모임도 공동 논평을 내고 “진실규명과 미수습자 수습을 위한 희망이 인양됐다.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종된 9명 확인 작업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해양수산부는 선체는 물론 세월호가 있었던 바닷속까지 샅샅이 뒤질 계획이다. 그러나 수색을 이유로 세월호 절단 가능성을 제기하는 데 대해 시신을 수습한 유가족들이 반발하고 있어 ‘선체 절단’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해수부는 높이 22m로 아파트 7층 높이인 세월호 선박을 정리하고 조사하려면 위험이 많다며 배를 세 조각으로 자르겠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미수습 가족들은 시신을 찾는다면 어떤 방법도 괜찮다며 유연한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유가족들은 절단만은 안 된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진상규명을 제대로 하려면 선체를 온전히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학배 해수부 2차관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미수습자들은 먼저 떨어지며 충격을 받고 찌그러진 선미에 주로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객실 분리 방법을 놓고 일부 분리, 일부 절단, 구멍 뚫기, 사다리 넣기 등 모든 수단을 복합적으로 협의해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절단이 결정되더라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선박업체 관계자는 “미수습 시신을 찾기 위해 절단을 할 수 있지만 그 전에 선체가 갖고 있는 중요한 정보는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월호 상단 객실 부분을 수평으로 잘라낼 경우 전선이 함께 절단돼 세월호의 엔진 등 작동했던 시스템 정보가 모두 사라질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은 “참사 원인에 대한 조사 등 모든 과정이 미수습자 수색을 중심에 놓고 맞춰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인양이 시작된 지난 22일엔 김 의원이 대표 발의한 ‘세월호 참사 미수습자 지원 법안이 국회 농해수위에서 의결됐다. 미수습자 가족들이 시신을 찾기 전까지 모든 법적·행정적 절차를 유보하면서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특별법’에 따른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세월호 인양과 함께 해수부는 후속 작업도 진행한다. 미수습자 유골이 세월호에서 유실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난해 4월 세월호 주변 해저면에 설치한 가로 200m, 세로 160m의 사각 펜스 안을 샅샅이 뒤지기로 했다.
해수부 계획은 가로 40m, 세로 20m의 40개 구역으로 나눠 잠수부 2명이 0.5m 간격으로 오가며 바닥을 수색한다는 것이다. 객실이 있었던 구역은 스페셜 존으로 구분해 정밀 검색한다. 해양탐사 장비인 소나로 2차 수색도 실시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선체에서 미수습자 시신이 모두 발견됐다는 연락을 받기 전까지는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펜스의 구멍이 가로·세로 2㎝라 작은 뼈는 유실됐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2㎝ 이하의 뼈에선 유전자를 검출하기 어렵다는 답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받았다”고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미수습자 찾는 게 최우선”… 세월호 선체 절단 주요 이슈로
입력 2017-03-23 18:19 수정 2017-03-23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