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항공사(LCC) 1위인 제주항공이 잇따른 악재로 흔들리고 있다. 제주 예약센터 폐쇄와 후쿠시마 부정기편 운항 논란, 항공요금 인상에 따른 제주도와의 갈등까지 겹치면서 업계 1위로서의 이미지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주도는 제주항공을 상대로 제주지방법원에 ‘운임 인상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앞서 제주항공은 지난 3일 제주와 김포·청주·부산·대구를 잇는 4개 노선에 대한 항공 운임을 최고 11.1% 인상하는 협의안을 제주도에 냈다. 제주도는 중국의 사드 보복을 고려해 요금 인상을 보류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제주항공이 기존 안을 강행해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제주도는 12년 전 맺은 협약을 근거로 들고 있다. 제주항공은 2005년 제주도가 자본금의 25%인 50억원을 출자하며 출범했다. 당시 제주도와 애경그룹이 맺은 협약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요금을 변경할 때 제주도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협상이 결렬되면 제주도가 지정하는 공신력 있는 기관 또는 업체의 중재(조정) 결정에 따라야 한다. 제주항공 측은 “운임 인상을 결정한 다른 LCC와 동일한 수준의 운임 설정이 필요해 인상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인상된 운임은 오는 30일부터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에는 제주항공 측이 제주에 있는 예약센터를 서울 김포 예약센터로 이전해 통합 운영키로 하면서 지역주민들 사이에 “제주 브랜드를 사용하는 제주항공이 제주를 홀대하고 있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지속되는 반대로 결국 예약센터 이전은 무산됐다.
3월로 예정됐던 후쿠시마 노선 신설 계획도 우려를 낳았다. 제주항공은 당초 지난 18일과 20일 두 차례에 걸쳐 인천∼후쿠시마를 왕복하는 전세기를 운항할 계획이었으나 방사능 안전을 우려하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부정기편 운항은 백지화됐다.
하지만 최규남 제주항공 사장이 지난달 24일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후쿠시마 공항의 안전성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표를 기초로 판단해야 한다”며 원인을 여론 탓으로 돌려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일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비즈카페] 잇단 악재에 흔들리는 제주항공
입력 2017-03-24 01:55 수정 2017-03-2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