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 서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정부나 국회, 사법부 등의 고위 공직자들은 지난해에도 대부분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부 소속 공개 대상자 77%가 재산이 늘었고 증가액은 평균 7600만원에 달했다.
정부·국회·대법원 등의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관보에 공개했다.
행정부 소속 공개 대상자 1800명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고재산(배우자, 직계 존·비속 포함)은 평균 13억5500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약 7600만원 늘었다. 증가분은 급여를 저축하거나 상속·증여 등으로 인한 재산 순증가액이 56.6%(4300만원), 토지나 주택의 공시가격이나 주가 상승 등에 따른 가액 변동액이 43.4%(3300만원)였다.
1382명(76.8%)이 재산이 늘었고 증가액이 5억원 이상인 사람도 69명(5.0%)이나 됐다. 재산이 줄어든 사람은 418명(23.2%)에 그쳤다. 신고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허성주 서울대 치과병원장으로 207억6205만원이었다.
국회의원 299명의 지난해 평균 재산은 37억2841만원으로 나타났다. 재산이 늘어난 의원은 299명 중 237명(79.3%)이고 줄어든 의원은 62명(20.7%)이었다. 게임업체 웹젠 대표이사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이 1678억8564만원을 신고해 재산 총액이 전체 1위였다.
사법부 재산공개 대상자(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169명의 평균 재산은 지난해보다 2억5433만원 증가한 22억9476만원으로 집계됐다. 행정부 고위 공직자 중 30.6%, 국회의원 가운데 38.4%는 독립 생계유지 등을 이유로 직계 존·비속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딴세상 사는 고위공직자, 불황에도 77% 재산 불려
입력 2017-03-23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