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가 ‘네거티브 논란’으로 정면충돌했다. 전날 TV토론에서 시작한 신경전은 온라인으로 확대되며 위험 수위를 넘나드는 공방이 벌어졌다.
두 사람은 각자 페이스북에서 “문 후보와 캠프의 태도가 타인을 질겁하게 하고 정떨어지게 만든다”(안 지사), “어떤 네거티브라도 내가 타격받을 일은 없을 것”(문 전 대표)이라며 설전을 벌였다.
과거의 동지가 생채기를 주고받는 것은 문재인 캠프의 ‘전두환 장군 표창장’ ‘부산 대통령’ 발언이 시작이었다. 하지만 대세론 조기 안착을 위해 뛰던 문 전 대표와 대역전극을 노리는 안 지사 사이의 장기간 신경전 끝에 곪았던 상처들이 한꺼번에 터져나왔다는 시각이 많다.
안 지사는 22일 오전 1시쯤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재인 후보와 문 후보 진영의 비뚤어진 태도에 대해’라는 제목으로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는 “문 후보는 끊임없이 나의 발언을 왜곡하거나 왜곡된 비난에 편승해 교묘히 공격했다. 심지어 나의 침묵까지 공격했다”며 “자신들이 비난당하는 것은 마타도어이며 부당한 네거티브라고 상대를 역공한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이번 (전두환 표창장) 발언도 문 후보가 실수한 것임에도 문제제기한 사람들을 네거티브하는 나쁜 사람들로 몰아붙인다”며 “사람들을 질리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 성공해 왔다”고 힐난했다.
이어 “그런 태도로는 집권세력이 될 수 없고 정권교체도, 성공적인 국정운영도 불가능하다. 이명박·박근혜정부를 미워하면서 결국 자신들도 닮아버린 게 아닐까?”라고 썼다. 그동안 문 전 대표가 안 지사의 ‘대연정’ ‘선의’ 발언을 비판했을 때 성실하게 답했는데, 안 지사가 전두환 발언을 비판했을 때는 문 전 대표가 네거티브로 몰아붙였다는 서운함도 드러냈다.
안 지사는 전날 경선 6차 토론회에서 문 전 대표가 발언 ‘찬스’까지 써가며 자신을 네거티브 공격자로 비판하자 크게 당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토론회 종료 후에도 여진이 이어졌다. 문 전 대표가 다시 페이스북에 “네거티브는 상대를 더럽히기 전에 자기를 더럽힌다. 동지들이 네거티브 때문에 되레 신선한 정치 이미지에 오점이 남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쓴 것이다. 안 지사는 이 글을 보고 참았던 화를 터뜨리고는 페이스북에 맞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가 안 지사를 네거티브한다고 공격한 것은 자신의 ‘전두환 표창장’ 발언, 오거돈 부산 선대위원장의 ‘부산 대통령’ 발언을 안 지사 캠프가 확대 재생산하는 것으로 의심해서다. 문재인 캠프 관계자는 “문 후보가 전두환씨를 존경하거나 그에게 상 받은 걸 자랑할 사람은 아니지 않느냐”며 “다른 사람도 아니고 안 지사 측이 그러는 것은 마음 아픈 일”이라고 했다. 특히 두 발언은 모두 호남에서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문재인 캠프는 민주당 호남권 경선(27일)을 1주일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안 지사 측이 발언 파장을 키우려 한다고 보고 있다. 안 지사 측 공세를 네거티브로 규정한 것은 이런 배신감의 발로인 셈이다.
반면 안 지사 측은 문 전 대표 측이 경쟁자의 입을 막으려 한다며 분개하고 있다. 정당한 비판을 하는 사람을 ‘파렴치범’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안 지사는 전두환 발언에 대해 “문 전 대표의 취지를 의심하지 않는다”고 두둔했음에도 자신까지 네거티브 주체로 지목하자 모욕감을 느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안 지사는 이날 전북지역 언론 간담회에서 “본의와 상관없이 너무 오랫동안 두들겨 맞았다”며 “두 달 내내 ‘적폐 세력과 손잡자는 말이냐’며 저를 정치적 야합을 하는 사람으로 공격하는 것은 정상적 토론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적인 정책 대안을 호도하는 것이야말로 네거티브”라고 강조했다. 안희정 캠프의 박영선 멘토단장은 “문재인 캠프가 네거티브 프레임을 만들어 다른 캠프를 걸려고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안 지사 캠프 관계자들이 문 전 대표 지지층으로부터 ‘악플·문자 테러’에 시달린 것도 반문 감정을 키웠다.
두 캠프 간 갈등이 격화되자 민주당 지도부까지 진화에 나섰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경계를 넘는 상호 비방은 국민의 기대를 훼손할 수 있으니 정말 서로 조심해야 한다. 지도부도 말조심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친노, 서로 정 떨어져 두 쪽 날라
입력 2017-03-22 18:01 수정 2017-03-22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