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로, 공원, 공공건물 등 서울의 주요 공공시설물에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이 확대 적용된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나 성별, 연령, 국적, 인지·감각능력 등의 차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디자인이다.
서울시는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 개발을 완료했으며 이를 서울의 각종 시설물에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어르신, 임산부, 영유아·어린이, 장애인, 등록외국인, 외국인 방문객 등 서울시민의 구성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은 필수라는 설명이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 5월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조성 기본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이번에 통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가이드라인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한 법과 조례, 무장애 건물·공원에 관한 가이드라인 등 흩어져 있던 관련 지침 15개를 망라하고 새로운 지침을 추가해 만들었다.
가이드라인에는 편리, 안전, 쾌적, 선택가능 등 4대 원칙 아래 가로(街路), 공원·광장, 공공건축물 등 3개 부문 29개 세부영역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이 담겼다.
이에 따르면 보도는 걷기 편한 평탄한 길이 기본이며 원하는 곳까지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보행자 안내표지를 설치하도록 했다. 경사로나 계단은 장애인들이 우회할 수 있도록 사전에 위치 등을 안내해야 한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차도는 차량 속도를 낮추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해야 한다.
공원은 휠체어, 유모차 이용자들을 위해 출입구 한 곳 이상을 평탄한 접근로로 조성해야 한다.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오감 활용 놀이시설도 설치된다.
공공건축물의 주 출입문은 자동문으로 하고 남성용 화장실에도 기저귀교환대를 설치하도록 했다. 일반화장실에도 어르신이나 임산부가 잡고 일어설 수 있도록 손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시는 앞으로 서울에서 지어지는 공공건물과 가로, 공원, 광장 등 공공공간에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올해 성동구 보건소에 시범 적용해 접근로, 안내표지, 주차장 안전보행로 등을 연말까지 개선하기로 했다.
시는 유니버설디자인이 확산될 수 있도록 통합 가이드라인과 체크 리스트를 본청, 사업소, 산하기관 및 자치구 등에 배포하고 시 홈페이지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고홍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편리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시민을 존중하는 인식이 확산될 수 있도록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 공공시설에 ‘유니버설디자인’ 확대 적용한다
입력 2017-03-23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