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채무 조정 안되면 워크아웃·법정관리”

입력 2017-03-21 19:07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대우조선해양의 채무 재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과 관련해 책임질 부분이 있다면 피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대우조선 구조조정 방안으로) 법정관리, 워크아웃, 기업분할 등 여러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채무 재조정과 관련한 이해관계자들의 자율적 합의가 없다면 법적인 강제력이 수반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23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 방안을 확정한다. 같은 날 산업은행 등 대우조선 채권단은 추가 지원 방안을 발표한다.

채권단은 2015년 10월 4조2000억원을 지원한 지 1년5개월 만에 다시 추가 지원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 도산 시 있을 수 있는 어려움과 채권 금융기관이 안게 되는 부담, 실물경제 영향을 고려하겠다”며 “대우조선 문제는 정치적 고려를 갖고 대응할 수가 없다. 처리를 미룰 만큼 대우조선의 유동성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강조했다.

또 임 위원장은 법정관리 후 청산된 한진해운과 대우조선 구조조정 방안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고, 추가 지원에 따른 도덕적 해이도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 “모럴해저드를 없애야 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구조조정 고려 사안이기 때문에 충분히 고려하겠다”고 했다. 그는 “추가 지원에 앞서 노동조합으로부터 자구노력에 동의하고, 회사 경영이 어려운 상황이 되지 않도록 무분규로 함께하겠다는 동의서를 받겠다”고 덧붙였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