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정농단 파문이 불거진 이후 수차례 대국민 담화, 언론 인터뷰로 본인의 입장을 밝혔다. 모두 도의적 책임만 인정하되 법적 책임과는 선을 긋는 내용이었다. 장외에서의 의견 표명이었고, 검찰·특별검사·헌법재판소에 나와 펼친 주장은 없었다.
그는 지난해 10월 25일 문건 유출을 최초 시인할 때에도 “일부 연설문이나 홍보물을 최(순실)씨에게 보여줬고, 표현 등에서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 “보좌 체계가 완비된 후에는 그만뒀다”며 비위 범위를 축소했다. 지난해 11월 4일에는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대해 “국가경제와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바람에서 추진된 일”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개인이 이권을 챙기고 여러 위법행위까지 저질렀다고 하니 너무나 안타깝다”며 최씨의 범행을 몰랐다는 투로 말했다.
그럼에도 사태는 가라앉지 않았고 국정농단의 다양한 행태는 언론 보도로 계속 드러났다. 이에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29일 “대통령직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국회의 결정은 탄핵소추 의결이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25일 헌재가 아닌 청와대에서 언론에 심경을 털어놨다. 언론을 탓하고 특검 수사가 과하다는 인터뷰에 ‘국민정서를 여전히 모른다’는 비판이 컸다.
박 전 대통령은 21일 서울중앙지검 포토라인에서 단 한 개의 질문만 받았다. 전날 예고했던 대국민 입장 표명은 없었다. 그는 1991년 10월 15일 ‘돈 1억원을 받고 쇠고랑을 차는 사람을 본다. … 인생의 시곗바늘을 되돌릴 수만 있다면 그 무엇이 아까우랴 싶을 것이다’라고 일기를 썼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朴, 메시지 있다더니…
입력 2017-03-21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