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5·18정신 헌법에 명기”

입력 2017-03-20 18:04 수정 2017-03-20 21:13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호남 민심을 얻기 위해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 전문에 명기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자신의 ‘전두환 표창장’ 발언과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부산 대통령’ 발언 파장을 진화하느라 진땀을 뺐다.

문 전 대표는 20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전남 공약을 발표했다. 내년 지방선거와 동시에 진행될 헌법 개정에서 ‘광주 5·18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고,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 지정과 5·18민주화운동 추가 진상규명도 약속했다. 광주 공약으로는 미래형 자동차 생산기지 조성과 국립심혈관센터 건립을 내걸었다. 전남 공약으로는 광양항 기반시설 확충, 무안공항의 서남권 거점공항 육성 등을 내놨다.

그러나 문 전 대표는 전날 ‘전두환 표창장’ 발언 때문에 옛 전남도청에서 농성 중이던 일부 시민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 자신을 민주화운동 유족이라고 밝힌 한 여성은 “여기는 전두환 때문에 자식, 남편 다 잃은 사람들이 있는 자리다. 어머니들이 농성하는 시점에 전두환에게 표창을 받았다는 말을 하느냐”고 소리쳤다. 다른 유족은 “자식이 여기서 죽고 그랬는데, 말을 그렇게 하느냐”며 울분을 토했다.

문 전 대표는 “어제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반란군 우두머리였다고 말씀드렸고, 저는 전두환 군부에 의해 구속된 사람”이라고 해명하다가 결국 “그런 취지가 아니었다. 노여움을 거둬 달라”고 사과했다. 하지만 다른 후보들의 비판에는 “평생을 민주화운동가와 인권변호사로서 광주와 함께 살아온 저에겐 일종의 모욕”이라고 반박했다.

문 전 대표는 전날 토론회에서 들어 보인 특전사 복무 사진이 캠프 아이디어였다고도 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그 시간대 주 시청층인 연세가 있는 분들을 겨냥한 것”이라며 “안보 관련 질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 TV토론본부가 결정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에서 계산하면 절대 맞는 것이 없다. 세월호 단식 모습이나 촛불집회에서 아이와 함께 찍은 사진을 골랐어야 했다”고 아쉬워했다.

문 전 대표의 부산공동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는 오거돈 전 장관이 전날 “이제 다시 부산 대통령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발언한 것도 파장이 계속됐다. 이재명 성남시장 측은 “문 전 대표가 지역주의 망령을 되살려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오 전 장관은 정권교체와 동서화합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피력한 것인데, ‘부산 대통령’ 표현만 문제 삼는 것은 말꼬투리 잡기”라고 반박했다.최승욱 기자, 광주=정건희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