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SK·롯데도 ‘뇌물거래’ 의심 … ‘혹’ 더 붙인 朴 전 대통령

입력 2017-03-19 17:37

오는 21일 검찰 소환을 앞둔 박근혜 전 대통령 조사내용에 SK·롯데그룹과의 뇌물거래 의혹이 추가될 가능성이 커졌다.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제시한 ‘박 전대통령-대기업 뇌물’ 프레임을 사실상 SK와 롯데 사안에도 대입하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다. 검찰의 최종 결론에 따라 박 전 대통령에 적용되는 뇌물수수 혐의액은 600억원을 넘을 수도 있다.

특수본은 지난 16일 김창근 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핵심임원을 부른 데 이어 18일 최태원 회장을 전격 소환했다. 19일에는 롯데면세점 장선욱 사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이 수사하지 못하고 이첩한 두 그룹에 대한 뇌물수사가 전방위로 진행되는 모양새다.

특수본은 두 그룹의 재단 및 최순실씨 지원을 삼성의 뇌물사안과 같은 구도로 본다. SK는 미르·K스포츠재단에 111억원을 출연했고, 최씨 측으로부터 80억원의 추가출연 요구를 받았다. 1기 특수본은 SK가 박 전 대통령과 최씨의 강요에 못 이겨 돈을 건넨 것으로 결론 내렸었다.

그러나 앞서 특검이 삼성 사안에 뇌물혐의를 적용하면서 이런 구도는 뒤집혔다. 2기 특수본은 최 회장의 특별사면과 CJ헬로비전 인수, 면세점 사업권 획득 등을 대가로 재단에 돈이 건네진 구도로 사안을 새롭게 구성하고 있다. 2015년 7월과 이듬해 2월 진행된 박 전 대통령과의 독대는 이런 각자의 요구사항이 오간 자리로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1기 특수본 때 확보되지 않았던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수첩은 이를 뒷받침할 강한 정황증거로 등장했다.

안 전 수석이 SK 수뇌부에 “왜 80억원 지원약속을 지키지 않느냐”는 취지로 보낸 문자를 특수본이 확보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박 전 대통령과 SK 간 뇌물의혹은 더 구체화되고 있다. 특수본은 1기 수사 때 역할이 불분명했던 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이 안 전 수석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한다. 특수본은 이 사장과 최 회장을 상대로 재단출연 경위 등을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은 박 전 대통령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 파악을 완료한 뒤 뇌물혐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45억원을 출연하고,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 출연했다가 돌려받은 롯데도 마찬가지다. 2015년 11월 시내면세점 심사에서 탈락한 롯데는 이듬해 3월 박 전 대통령과 신동빈 회장 독대 후에 면세점 사업자로 추가 선정됐다. 지난해 검찰 수사를 앞두고 70억원을 돌려받은 점도 석연치 않은 정황으로 의심받고 있다.

두 그룹은 박 전 대통령의 강요 때문에 재단에 돈을 출연할 수밖에 없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또 삼성과 달리 재단출연 대가로 얻은 구체적인 특혜도 불명확하다고 지적한다. SK의 경우 CJ헬로비전 인수와 면세점 사업권 획득에 실패했다. 롯데는 시내면세점 사업자로 추가 선정된 시점이 지난해 12월로 독대와 시차가 있고, 정부가 추진한 면세산업 제도개선 방안도 롯데 측에 불리했다고 강조하는 중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