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선거관리 당국이 ‘가짜 뉴스’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번 대선이 후보자 검증 기간이 부족한 상황을 악용해 근거 없는 의혹 제기가 기승을 부릴 위험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6일 제19대 대선 가짜 뉴스 대책회의를 열고 가짜 뉴스에 대한 예방·단속 방안을 논의했다. 검찰도 17일 전국 공안부장검사회의를 열어 악의적이고 계획적인 가짜 뉴스의 작성자와 유포자를 엄벌키로 했다. 앞서 경찰도 지난주 선거상황실을 가동하면서 가짜 뉴스를 철저히 모니터하기로 했다. 경찰은 지난달부터 인터넷상에서 가짜 뉴스 적발 활동을 벌여 총 40건의 조사 대상 가운데 19건을 방송통신심의위에 삭제 또는 차단 조치토록 요청하고, 5건을 수사하고 있다. 경찰이 삭제·차단 요청한 가짜 뉴스에는 ‘북한군이 청와대로 진격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라도와는 얘기 안 한다고 했다’는 등 어처구니없는 내용이 들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SNS나 인터넷를 통한 뉴스 소비가 늘면서 가짜 뉴스 문제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가짜 뉴스가 유권자들을 혼란에 빠뜨렸고, 우리나라에서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가짜 뉴스에 시달리다 대선 출마를 포기 했다. 최근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치매에 걸렸다는 허위 사실이 유포되기도 했다.
이처럼 가짜 뉴스는 인터넷 등을 통해 급속히 퍼진 후에는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만들어낸다. 특히 대통령 선거에서 가짜 뉴스가 여론을 왜곡해 당락에 영향을 줄 정도로 악영향을 미친다면 그것은 국가적으로도 심각한 폐해가 아닐 수 없다. 가짜 뉴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30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독버섯처럼 번지는 가짜 뉴스를 엄단하고 뿌리뽑아야 하는 이유다. 관계 당국의 강력한 단속도 중요하지만 포털과 SNS의 자체 검증 시스템 강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사설] 독버섯처럼 번지는 가짜뉴스 뿌리 뽑아야
입력 2017-03-19 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