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의 질병으로 알고 있던 ‘폐암’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에게서도 자주 발견돼 경종을 울리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고서에 따르면 폐암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남성 환자는 2010년 3만8168명에서 2016년 5만1845명으로 36%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중 여성 폐암 환자는 1만6806명에서 2만7884명으로 6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폐암 환자는 또한 2016년 한 해 전체 폐암 환자 7만9729명 중 35%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여성 폐암 환자 10명 중 8.8명이 한 번도 담배를 피워본 적이 없는 비(非)흡연 자라는 점이다.
이렇듯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에게 폐암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세계보건기구(WHO)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및 대기오염, 미세먼지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중국의 역학조사에서도 비흡연자 중 요리를 자주하는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폐암 발생률이 3.4∼8배나 높았으며, 덴마크의 한 연구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5㎍/㎥ 상승할 때마다 폐암 발생 위험이 18% 증가했다는 보고서가 그 근거다. 미세먼지가 10㎍/㎥ 상승할 때마다 폐암 발생 위험이 22%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흡연자보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비흡연자가 오랜 기간 흡연자와 같이 생활하며 간접흡연을 하게 되면 흡연자보다 오히려 담배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담배연기를 그대로 흡입하고, 발암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안심할 수가 없는 게 폐암이라는 얘기다.
비흡연 여성이 폐암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아울러 가정에서 조리를 할 때 반드시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도록 하며, 생선이나 고기 등의 음식물을 굽거나 볶고 가열을 할 때 가급적 조리기의 뚜껑을 덮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 폐 검진을 받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객혈이나 호흡곤란, 흉통 등 이상 증상이 있을 때의 폐암은 상당히 진행이 돼 손쓰기 힘든 경우가 많아서다. 특히 비흡연 여성이라도 45세 이상이나 폐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저선량 폐CT를 이용한 정기 폐 검진이 권장된다.
글=박병준 중앙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삽화=공희정 기자
[헬스 파일] 주방 요리 연기·간접흡연 조심해야
입력 2017-03-21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