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1등 주자’에 대한 후발 주자의 집중 견제가 강화됐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민주당이 17일 서울 중구 MBN 사옥에서 개최한 ‘4차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문재인 전 대표의 리더십 부재와 정치적 비일관성을 집중 공격했다. 문 전 대표는 상대 후보의 정책공약 실현 가능성을 문제 삼으며 국면 전환을 시도했다.
이 시장은 “국민들은 문 전 대표가 뭘 하려는지 알기 어렵다. 중대 사안에 대한 지도자의 말 바꾸기는 심각한 문제”라고 문 전 대표를 몰아세웠다. 이 시장은 탄핵 국면에서 문 전 대표의 입장이 ‘거국중립내각 구성→박근혜 2선 후퇴→명예로운 퇴진→탄핵 찬성→기각 시 혁명→승복’으로 여러 차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또 ‘박근혜 경제 가정교사’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과 진보학자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 동시 영입을 언급하며 “(정체성이) 상반된 인사를 함께 영입해 뭘 하려는 것이냐”고 했다.
문 전 대표는 “정치인이 촛불집회를 이끌었다면 순수성과 자발성이 훼손됐을 것”이라며 “정치는 흐르는 것이고, 정치권은 촛불민심에 따르는 것이 도리”라고 반박했다. 정치적 입장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영입 인사 구설과 관련해서는 “역대 가장 깐깐했던 청와대 민정수석 출신이므로 염려하지 말라”고 받아쳤다.
안 지사는 문 전 대표의 ‘반(反)통합적 리더십’ 문제를 다시 꺼냈다. 안 지사는 “(문 전 대표가) 어려울 때 손을 내밀었던 동지를 ‘반혁신 세력’이라고 말하는 것은 지나치다. 내 편이면 무조건 예쁘고, 반대편이면 무조건 배척하는 리더십으로 어떻게 한국을 이끌 것이냐”고 지적했다. 문 전 대표는 “2002년 노무현 후보를 흔들던 움직임 등 많은 우여곡절을 봤지만 결국 대의 앞에 힘을 모았던 것이 야당의 역사”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당도 연정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후발주자들의 집요한 공세를 공약 검증으로 맞받았다. 문 전 대표는 안 지사의 ‘전 국민 안식제’가 자영업자·비정규직에게 해당되지 않아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했다. 이어 “대연정이 필요할 때가 올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이 시기에는 탄핵(결정) 불복을 말하는 세력과의 대연정을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안 지사도 “탄핵 국면에서 국회가 (여권과 공조해) 234표라는 압도적 찬성표를 모아본 적이 있지 않느냐”며 물러서지 않았다.
문 전 대표는 이 시장의 법인세 증세 공약에 대해 “기업을 죽이면 어떡하느냐”고 선공을 펼쳤다. 이 시장은 “대상 기업이 440여개에 불과하고, 법인세 8% 올린다고 해서 기업이 망하지 않는다”고 맞섰다.
안 지사는 타 후보의 장점을 꼽아 달라는 주문에 문 전 대표에게 “날 선 비판도 이해해줘 감사하다”고 했다. 이 시장은 안 지사에게 “입장과 철학의 일관성이 존경스럽다”고 치켜세웠고, 문 전 대표는 “세 후보 모두 민주당의 든든한 자산”이라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갈수록 커지는 ‘1등 주자’ 견제 심리
입력 2017-03-17 17:49 수정 2017-03-17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