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전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선과 개헌 동시 투표안은) 국민의당과 더불어민주당 개헌파가 추진하는 것”이라는 15일 발언에 당사자들이 발끈했다.
민주당 한 개헌파 의원은 17일 “도대체 누구랑 교감을 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현실적으로 대선 때 개헌 국민투표를 한다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우리 당 안에서 국회 개헌 특별위원회 외에 다른 특별한 움직임이 없다”며 “국민의당이 누구랑 같이했다는 건지 알 수가 없다”고 반문했다.
국민일보는 민주당 개헌파 의원 20여명과 통화했지만 국민의당과 공식적으로 이 문제를 논의했다는 의원은 없었다. 사적으로 논의를 한 경우는 있었지만 그 역시 합의안 실현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개헌파 중진 의원은 “각 당에서 몇몇 의원들이 각자 개헌안을 만들어 한 번쯤 만난 적은 있다”며 “그 자리에 한국당은 없었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의원끼리 봤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권한 강화, 권력제도 개편 등에 공감대를 이뤘지만 세부적으로는 추가 논의가 필요했던 상황”이라며 “3당이 국회에 발의하겠다고 하지만 한국당까지 합쳐 발의정족수(150석)는 넘더라도 의결정족수(200석)는 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개헌파 의원들은 국민의당이 자유한국당·바른정당과 ‘대선과 개헌 동시 투표’에 합의한 뒤 역풍을 우려해 민주당 의원들을 끼워 넣었다고 파악했다. 실제 3당 합의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민주당 개헌파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국민의당에 항의했다.
민주당은 김종인 전 민주당 비대위 대표가 탈당한 이후 연대를 모색하던 3당이 개헌을 고리로 다시 공세에 나선 것으로 본다. 특히 김 전 비대위원장이 합의 주체도 아닌 민주당 개헌파 의원들을 끌어들인 것은 비주류 의원들을 흔들어 정계 개편을 꾀하려 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민주당 중진 의원은 “민주당에 기울어진 운동장을 밖에서 흔들려는 전략”이라고 했다. 민주당을 제외한 3당은 19대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단일 개헌안도 마련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대선과 개헌 동시 투표안에 민주당 개헌파가 교감했다고?”
입력 2017-03-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