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도로청소가 도로 위 미세먼지를 직접 빨아들이는 분진흡입 방식으로 전환된다. 서울시는 16일 기존 물청소 위주의 도로청소를 분진흡입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도로분진청소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연내 분진흡입 청소차량을 30대 추가 확보해 총 75대로 늘릴 계획이다. 이 차량은 하루에 5∼6시간을 운행하며 약 50㎞정도의 도로를 청소할 수 있다. 75대가 투입될 경우 연간 120만㎞를 청소해 토사 3846t, 분진 372t을 수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는 연간 78.7t, 초미세먼지는 2.4t이 제거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에 따르면 분진흡입청소는 도로 위에 쌓인 미세먼지를 고압으로 빨아들인 후 특수필터를 통해 98%가량을 걸러내는 방식이어서 물청소에 비해 장점이 많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에도 결빙 걱정 없이 청소할 수 있고 물 튀김으로 인한 시민불편, 지하수 고갈 등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도로를 구간별로 나눠 청소할 수 있고 한 대 만으로도 청소가 가능하다.
시는 2차로 이하 도로 및 이면도로 등 좁은 도로에는 기동성 있는 3.5t 소형분진흡입전용 청소장비를 새로 투입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 도로청소, 분진흡입 방식 전환
입력 2017-03-16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