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원한 비서실장’으로 여겨졌던 문 전 대표는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해 대선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당에서 유리된 채 시민사회 그룹의 지지에만 기댔다가 실패했다는 평가마저 나왔다.
문 전 대표는 2015년 2·8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선출되며 ‘친문 시대’를 열었다. ‘이기는 정당’을 내걸고 나선 그는 2012년과 달리 민주당을 통한 집권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이 시점부터 친문·반문 그룹 간 주도권 싸움도 격화됐다. 한 반문 의원은 16일 “2015년은 차기 대선을 향한 문 전 대표의 로드맵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라며 “민주당이 악전고투해 이뤄놓은 역사에 친노·친문이 끼어들기 시작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한 친문 의원은 “당의 혁신을 위해 모든 걸 양보하고 또 양보했다”며 “친문 의원이야 있지만 패권주의 누명을 씌우는 건 중상모략”이라고 반박했다.
반문 의원들은 지난해 8·27전당대회에서 친문의 당 지도부 ‘싹쓸이’를 대표적인 패권주의 사례로 꼽는다. 정치 경력이 일천한 사람들마저 문 전 대표가 영입했다는 이유로 주요 당직에 올랐다는 비판이다. 이들은 안철수·김종인 등 비문 개혁세력의 소모품화, 친문 핵심 세력 중심의 배타적인 당·캠프 운영, 2012년 총선의 공천 담합 의혹, 2015년 4·29재보선 참패 후에도 책임지지 않는 모습 등도 지목했다. ‘달레반(문
친문 그룹은 비문의 이런 지적이 개혁 작업에 반대하는 정치 기득권의 마타도어라며 반론을 제기한다. 문 전 대표는 2015년 당대표 선출 이후 계파 갈등을 불식하기 위해 탕평인사에 공을 쏟았고, 친문 측근 인사들을 당직에서 대부분 배제했으며, 경쟁자였던 박지원계 인사들도 주요 보직에 기용했다는 주장이다. 그럼에도 반문 의원들은 사퇴 요구, 공천권 나눠먹기 등을 요구하며 문 전 대표를 흔들었고, 문 전 대표는 결국 ‘김상곤 혁신위’에 당권을 인계하는 승부수를 던질 수밖에 없었다. 당내 기득권 세력이 지속적인 당 혁신 작업을 ‘패권주의’로 몰아붙였다는 것이다.
친문 인사들은 지난해 4·13총선에서 이해찬 노영민 강기정 등 친문 측근들이 대거 공천에서 탈락한 것도 패권주의가 허상이라는 근거라고 밝혔다. 한 친문 의원은 “호남 홀대론 등 전혀 사실이 아닌 것들도 사실로 둔갑시켜 마타도어로 사용했다”고 비판했다.
강준구 백상진 기자, 그래픽=공희정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