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표절 문제로 물의를 빚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모 교수가 또다시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국민일보 2월 9일자 참조). 국문과 대학원생들은 이례적으로 대자보를 통해 해당 교수의 해명과 당국의 진상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70년 역사의 서울대 국문과가 연구윤리 문제로 유례없는 홍역을 앓고 있다.
16일 한국연구재단과 서울대 국문과 등에 따르면 박 교수는 2015년 ‘비교한국학’에 쓴 ‘한·중 근대문학 비교의 쟁점: 이육사의 문학적 모색과 루쉰’ 등 3건의 논문에서 추가로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3년 안에 발표된 논문에서 의혹이 나옴에 따라 징계 문제도 탄력을 받게 됐다. 박 교수의 기존 논문 2건이 현재 조사를 받고 있지만 3년 전 게재된 논문은 문제가 드러나도 징계할 수 없다는 ‘3년 징계 시효법’ 때문에 논란이 됐었다.
‘한·중 근대문학 비교의 쟁점’은 185쪽에서 임현치의 ‘노신평전’(실천문학사) 문장을 인용 표시 없이 2차례, 총 12줄에 걸쳐 거의 그대로 옮겼다. 어떤 문장(185쪽)은 각주에 엉뚱한 쪽수를 기재해 실제 책을 참고했는지 의구심을 갖게 했다.
또 2008년 ‘한국현대문학연구’에 발표한 ‘1930년대 후반 한국근대문학비평에 나타난 묘사론 연구-임화와 김남천의 묘사론을 중심으로’는 조계숙의 2002년 고려대 박사 논문 ‘한국문학비평에 나타난 묘사론 연구’를 4군데 이상 인용 표시 없이 전재하다시피 했다.
2004년 ‘한국현대문학연구’에 수록된 ‘마음의 생태학을 위한 시론: 게리 스나이더와 정현종을 중심으로’는 최소 3군데(42·43·45쪽)에서 김원중의 ‘교만의 공멸에서 겸손의 상생으로’ 등 논문 2건의 일부 문장과 거의 일치한다.
서울교육대학 이인재 교수는 “표절 여부는 기계적으로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전문가 집단에서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 국문학과 교수는 “자신의 견해는 보이지 않고 직간접 인용이 지나치게 많은 것 같다”며 “연구윤리가 정착된 최근까지도 이런 행위가 지속됐다면 큰 문제”라고 말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표절 3년징계 시효 논란’ 빚은 서울대 교수 2015년 논문도 표절 의혹
입력 2017-03-16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