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단기영향 미미… 하반기 위축 우려

입력 2017-03-16 18:58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했지만 단기적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올 하반기에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과 국내 주택 공급과잉 논란, 11·3대책과 금융권의 중도금 대출규제 여파가 맞물려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

1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된 일이었고, 국내 시장 금리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어 당장 가시적인 주택 시장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곧바로 따라 올리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에도 올해 한국의 금리 인상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된다”며 “신규 대출금리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오른 상황이라 기록할 만한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올 하반기다. 미국이 올해 금리를 몇 차례 더 올릴 경우 국내 금리도 이를 따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면 한은에서도 금리 인상 부담이 커지게 된다”며 “유동성에 의해 주택시장이 돌아갔던 지난해와 다른 양상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 가능성에 국내 입주물량 증가, 중도금 대출 규제의 후폭풍에 ‘장미 대선’으로 인한 정치적 변수도 남아 있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 접어들면 주택시장의 경우 실수요는 관망세를 보이고 투자수요는 위축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금리가 오르면 수익형 부동산의 수익률이 떨어져 대출을 통해 부동산에 투자할 만한 유인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금리 민감도가 높은 재건축·재개발이나 투자용 부동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며 “대출 의존도가 높은 신혼부부와 직장인 등에게도 어느 정도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우선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이 피해를 본 이후 주택시장도 서서히 금리 인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격이 폭락할 정도는 아니지만 투자자가 줄어드는 등의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건설사들도 긴장하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오를 경우 이자 부담이 커져 분양 시장 위축이 불가피하다”며 “서울 강남 등 인기 단지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지역별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미분양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유력 대선 주자들이 보유세 강화나 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 부동산 규제 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점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